[월드투데이=심재민 기자] 
자녀와 같이 살고 싶지 않다는 비율과 집보다 무료 양로원이나 요양원에 가고 싶다는 60세 이상 고령자의 응답비율이 더 늘었다.

통계청은 4일 이런 내용의 '2013년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회조사는 국민의 현실의식과 생활여건 등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가족, 교육, 복지 등 10개 부문을 5개씩 나눠 2년 간격으로 조사한다.

올해는 복지, 사회참여, 문화와 여가, 소득과 소비, 노동 등 5개 부문에 대해 전국 1만7천664개 표본가구에 상주하는 만 13세 이상 가구원 3만8천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뤄졌다.

◆노후 준비가구 72.9%…2.9%포인트↓

19세 이상 가구주의 72.9%가 '노후를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2년전보다 오히려 2.9%포인트 떨어졌다.

반면에 노후준비를 하지 않는 가구주는 27.1%로 같은 폭만큼 증가했다.

노후 준비를 하는 가구주들은 '국민연금'(52.5%), 예·적금(17.4%), 사적연금(11.3%)을 많이 꼽았다. 성별로는 남자 가구주(79.4%)가 여자(53.4%)보다 노후 준비에 적극적이었고 연령별로는 30대(87.1%), 40대(85.7%)의 노후 준비율이 높았다.

노후준비를 하지 않는 이유는 '능력없음'(49.7%), '앞으로 준비'(24%), '자녀에게 의탁'(17.4%) 등이 대부분이다. 특히 노후준비가 안된 60세 이상 가구주 중에 준비할 능력이 없다는 답변이 58.1%에 달해 노인빈곤 문제가 현실화됐음을 보여줬다.

60세 이상 고령자 가운데 자녀와 살고 있는 비율은 32.2%, 따로 사는 비율은 67.8%로 2011년에 비해 1.2%포인트씩 줄고 늘었다.

앞으로 자녀와 동거할 의향에 대한 설문에는 27%만이 같이 살고 싶다고 말했다. 이 역시 2%포인트 감소한 것이다. 같이 살고 싶지 않다는 답변은 2%포인트 늘어난 73%다.

여성(29.7%) 응답자가 남성(23.5%) 응답자보다 자녀와 같이 살고 싶어했다.

자녀와 동거의사가 없는 고령자들은 앞으로 살고 싶은 곳은 '자기 집'(78.8%), '무료 양로원 또는 요양원'(15.4%), '유료 양로원 또는 요양원'(5.2%) 등 순이다. '자기집' 선호는 2.8%포인트 낮아졌고 무료양로원이 3.8%포인트 늘었다.

60세 이상 고령자가 받고 싶은 복지 서비스는 건강검진(30.9%), 간병서비스(24.1%), '가사서비스(17.5%), '취업알선'(10.6%) 등 순이다.

고령자들은 '경제적 어려움'(38.6%), '건강문제'(35.5%) 등에서 대부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생활비 마련 방법은 '본인 및 배우자 부담'(63.6%), '자녀 또는 친척 지원'(28.8%), '정부 및 사회단체'(7.6%) 등의 순이었다.

19세 이상 인구 가운데 원하는 장례 방법은 '화장 후 자연장'(45.3%)을 가장 선호했고 '납골당이나 납골묘 등에 화장후 봉안'(38.3%), '매장'(14.7%) 등이 뒤를 이었다.

◆생활여건 '좋아졌다' 31% vs '나빠졌다' 24.1%

19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생활여건 변화 조사에서는 과거보다 전반적인 생활여건이 좋아졌다고 응답한 비율이 31%로 2011년에 견줘 소폭(0.1%) 증가했다. 나빠졌다는 응답은 29%에서 24.1%로 축소됐다.

그러나 복지사업 확대에도 보건의료서비스가 좋아졌다는 응답은 39.3%로 0.2% 줄었다. '변화 없다'는 응답은 49.8%에서 53.4%로 증가해 보건의료 서비스 개선에 따른 체감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회보장제도가 개선됐다는 응답은 31.6%에서 32.6%로, 문화·여가생활 향유여건 개선은 35.1%에서 35.6%로 각각 늘었다.

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에 부담을 느끼는 비율은 감소했다. 건강보험은 64.9%, 국민연금은 62.3%, 고용보험은 38.7%가 부담스럽다는 반응이지만 모두 2년전보다 3~3.5%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앞으로 늘어야 할 복지시설에 대한 질문에는 보건의료시설(24.1%), 사회복지시설(20.1%), 국·공립 어린이집(15.4%)을 많이 꼽았고 복지서비스로는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서비스'(39.4%), '취약계층 일자리 서비스'(18.3%), '노인돌봄 종합서비스'(17.1%) 등을 내세웠다.

우리 사회의 장애인 차별정도는 '심하다'는 사람이 66.5%나 됐지만 평소 자신의 차별 정도에 대해서는 같은 응답이 12%에 불과해 사회와 자신의 주관적 인식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집 근처 장애인 시설이 만들어지는데 대해서는 '전혀 문제없다'(35.8%), '반대는 않음'(58.3%), '반대'(5.8%)의 분포를 보여 2년전보다 인식이 개선됐다.

그러나 장애인 복지사업의 충분 정도는 장애인과 비장애인간에 차이를 보였다. '계속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이 장애인은 43.8%나 됐지만 비장애인은 26.9%에 그쳤다.

저작권자 © 월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