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천년 도읍지인 경주 월성에서 제물로 바쳐진 것으로 추정되는 인골 2구가 발견돼 화제다.

사진=문화재청

성벽 유적에서 인골이 출토된 것은 국내 최초로, 제방을 쌓거나 건물을 지을 때 사람을 주춧돌 아래에 매장하면 무너지지 않는다는 인주(人柱) 설화가 허구가 아니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인주설화란 사람을 기둥으로 세우거나 주춧돌 아래에 묻으면, 제방이나 건물이 무너지지 않는다는 설화다.

중국에서는 상나라(기원전 1600∼기원전 1000년께) 시기에 성벽을 건축하는 과정에서 사람을 제물로 쓰는 풍속이 유행했다고 전하며, 고려사에 의하면 충혜왕 4년(1343년) 개경에서 “왕이 민가의 어린아이를 잡아다가 새로 짓는 궁궐의 주춧돌 아래에 묻는다”는 괴담이 떠돌았다는 기록이 있다. 당시에 인주설화가 많이 떠돌았음을 뒷받침하는 기록이다.

16일 박윤정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연구관은 “지금까지 토목공사를 하면서 사람을 제물로 바쳤다는 기록은 없었다”며 “이번에 발굴된 인골은 인주설화가 확인된 최초의 사례”라고 설명했다.

인골들이 발굴된 지점은 지난해 3월 이후 정밀 발굴조사가 진행된 곳으로, 5세기 전후에 축조된 것으로 보이는 서쪽 성벽의 기초층이다. 이 성벽은 5세기께 처음 축조돼 6세기에 최종적으로 보수됐고, 문이 있던 자리는 유실됐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박 연구관은 “인골들이 1500년 전 성벽을 축조하는 단계에서 묻힌 것으로 보인다”며 “기초시설을 쌓은 뒤 인골을 두고 제의를 지낸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발굴된 2구의 인골 중 1구는 하늘을 향해 똑바로 누워 있었으며 1구는 얼굴과 팔이 옆의 인골을 바라보듯 얼굴과 팔 한쪽이 돌려져 있었다. 두 인골은 결박이나 저항의 흔적이 없고 곧게 누운 점으로 미뤄 사망한 뒤에 묻힌 것으로 판단된다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사진=문화재청

박 연구관은 “인골의 크기는 대략 165㎝로 성인의 것으로 보인다”며 “두구 중 한구는 남성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발굴된 인골을 대상으로 자연과학적 연구를 진행 중이다. 발굴된 인골을 통해 당대의 체질적 특성과 인구 구조, 질병, 식생활, 유전적 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골의 DNA와 콜라겐 등 분석을 진행 중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지금까지 발굴이 진행된 부분은 월성의 전체에서 극히 일부에 해당한다”며 “월성의 체계적 복원을 위한 철저한 고증 연구와 학술 발굴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소 측은 인골이 나온 성벽 부근에서 다른 제례 유물들이 나왔고, 좀 더 떨어진 다른 성곽에서도 곰뼈가 나온 점 등으로 미뤄 성곽을 쌓을 때 여러 방식의 다양한 제례의식이 펼쳐졌다는 것을 짐작해 볼 수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월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