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이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배후 북한 소행"이라고 공식 지목 했다. 사진=YTN 뉴스 관련 보도 캡처

북한의 사이버 공격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경고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미국 정부가 올해 초 전 세계 병원과 은행, 기업의 네트워크를 마비시킨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공격의 배후로 북한을 공식 지목했다.  

19일 현지시간 토머스 보서트 백악관 국토안보보좌관은 브리핑에서 북한이 워너크라이 공격의 배후라는 증거를 가지고 있으며 피해 국가와 민간 기업들도 이에 동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영국과 호주, 캐나다, 일본 등도 미 국토안보부의 분석 결과를 검토한 뒤 같은 결론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워너크라이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운영체제의 취약점을 겨냥한 랜섬웨어로, 감염된 파일을 풀려면 대가를 지불해야 했다. 5월 시작된 워너크라이 공격으로 150여 개국에서 23만여 대 컴퓨터가 감염됐다.  

워너크라이 공격 배후로는 북한이 여러번 지목됐지만 미국 정부가 공식 인정한 것은 이번이 최초다.  

이와함께, 북한의 사이버 공격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더욱 강화되면서 궁지에 몰린 북한이 서방의 금융기관 등을 해킹함으로써 달러 등 경화를 훔치거나 ‘워너크라이’와 같은 랜섬웨어 공격을 감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영국 정보통신본부(GCHQ) 국장 출신인 로버트 해니건은 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기고한 ‘북한으로부터의 임박한 위협은 사이버 공간(The immediate threat from North Korea is in cyber space)’이라는 제하의 글을 통해 선진국의 금융기관들이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대비한 방어체계를 시급히 강화해야 한다면서 이같이 경고했다.

 해니건은 이날 FT 칼럼을 통해 “최근 북한은 가상화폐인 비트코인 거래소를 공격했다. 비트코인이 그들의 새로운 공격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해니건은 “고도로 네트워크화 된 세상에서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부수적인 피해(collateral damage)’를 예측하는 일은 재래식 혹은 핵전쟁의 피해를 가늠하는 일보다 훨씬 어렵다”고 적었다.
 

저작권자 © 월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