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 교원과 같은 휴기비 등 요구

▲ 학교비정규직 노조원들이 지난 9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학교비정규직 노동자 총궐기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월드투데이 = 박용복 기자]

일선 학교에서 영양·조리사, 조리원 등 급식업무와 각종 보조 업무를 맡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13일부터 파업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져 파문일 전망이다.
공공운수노조 전회련학교비정규직본부, 전국여성노조, 전국학비노조로 구성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는 쟁의조정 절차와 찬반투표를 거쳐 13일부터 쟁의행위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연대회의는 아직 쟁의조정 절차를 밟지 않은 시·도 지부가 있어 당분간은 일부 지역에서 파업을 진행하고 이달 중순 전체 시·도지부가 쟁의조정 절차를 마치면 전국적인 전면 파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서울지역 학교 비정규직은 지난 7월 서울시교육청과 단체협약을 체결해 이번 파업에 동참하지 않는다.
연대회의 소속 조합원은 5만여명으로, 급식, 교무보조, 전산보조, 사무보조 등을 맡거나 영어회화전문강사, 스포츠강사로 활동한다.
교육부는 3년 이상 근무자에게 주는 장기근속 수당을 현행 2년에 1만원에서 1년에 1만원으로 인상하는 내용의 학교비정규직 처우개선안을 내놓았으나 학교 비정규직 측은 정규직과의 차별을 해결하기에는 미흡하다고 보고 있다.
연대회의는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과의 교섭에서 해마다 봉급을 3만원 인상하는 호봉제를 도입하고 정규 교직원과 같이 급식비, 명절 휴가비, 상여금, 복지포인트 등을 지급해 차별적인 임금체계를 개선해 달라고 요구해왔다.
아울러 상시·지속 업무가 아니라는 이유로 특정 직종의 4만명 가량을 제외하지 말고 전체 학교 비정규직을 사전 평가 없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교육부는 내년 예산 사정이 좋지 않아 학교 비정규직 측의 요구를 들어주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시·도교육청의 주요 재원인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이 당초 4조2천억원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으나 실제 증가액은 2천300억원에 그쳤다.
한편 학교 비정규직들이 전면적인 파업에 들어가면 학교 급식에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지난해 11월 학교급식 조리사, 조리원 등을 중심으로 총파업을 벌여 전국 약 10%의 학교에서 급식이 중단된 적이 있다.
 

저작권자 © 월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