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월드투데이] 문영미 기자 = 전국 소방공무원들이 내년 4월부터 국가직으로 전환되는 데에 발맞춰 대형 재난 발생 시 대응체제가 광역 단위에서 국가 단위로 전환된다.

현장출동도 관할지역을 뛰어넘어 재난현장에서 가장 가까운 소방서에서 출동하는 등 공동대응 체계가 강화된다.

[사진제공=소방청]

행정안전부와 소방청은 4일 이런 내용을 담은 '국민 소방안전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대형재난이 발생했을 때 대응체계가 광역단위에서 국가단위로 바뀐다.

최근 소방관 국가직화 관련법 개정으로 대형재난 발생 등 필요한 경우 소방청장이 시·도 소방본부와 소방서장을 지휘·감독할 수 있게 됐다.

재난현장 초기 대응도 시·도 경계를 초월한 공동대응을 하게 된다.

현재는 시·도 인접지역에서 화재 등이 발생한 경우 관할 소방본부에서 출동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타 시·도라도 현장에서 가까운 소방서에서 출동해 초동대응을 한다.

시·도 소방본부별로 분산돼있는 119상황관리도 일원화한다.

내년까지 소방청에 119통합상황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유사시 전국의 소방자원을 신속하게 파악해 보다 효과적으로 현장에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소방장비도 국가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운영·관리한다.

소방헬기의 경우 시·도별 운영체계를 2025년까지 국가 통합관리 체계로 전환해 지휘체계를 일원화한다. 항공장비·수리부속품도 2021년부터 국가가 일괄 구입하고 보험도 통합해서 체결한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필요한 장비를 갖춘 헬기를 투입함으로써 소방헬기 출동 공백을 없애고 가동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구급출동과 관련해서는 현장인력을 보강해 구급대가 없는 농·어촌 지역에 2022년까지 95개 구급대를 배치한다. 또한 현재 71% 수준인 119구급차 3인 탑승률도 같은 기간 100%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아울러 2021년까지 '소방안전 빅데이터 센터'를 구축해 예방정책 마련과 맞춤형 재난정보 제공에 활용한다.

저작권자 © 월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