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서울셀렉션 제공]

[월드투데이=최영은 기자] 이명찬 동북아역사재단 명예연구위원은 저서 '일본인들이 증언하는 한일역전'(서울셀렉션)에서 한일 간 힘의 관계가 뒤집히고 있는 원인을 한국의 민족주의 시각이 아닌 일본인들의 증언과 자료를 토대로 파헤친다.

이 책은 1876년 조선이 일본의 강압으로 체결한 강화도조약 이후 140년 넘도록 이어진 '극일(克日)'이 감정이 아닌 현실이 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해방 후에도 경제·사회·문화적으로 일본에 뒤처지며 극일 감정이 우리 민족의 마음속에 자리 잡아 때로는 '반일(反日)'로, 때로는 일본을 배워야 한다는 '숭일(崇日)'로 모순된 형태로 나타났다고 말한다.

10여 년간 일본에서 유학하며 게이오대학에서 박사 과정을 마치고 12년을 동북아역사재단에서 연구위원으로 재직하면서 한일 관계를 연구한 저자는 양국 간 힘의 역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강조한다.

책은 일본이 한국에 추월당한 근본 원인을 일본의 정치·사회·문화적 후진성에서 찾는다. 먼저 시라이 사토시(白井聰) 교토 세이카대 교수가 쓴 '영속패전론(永續敗戰論)'을 소개한다. 일본이 패전을 종전으로 속여왔기 때문에 패전을 가져온 체제가 지속된다는 게 이 책의 핵심 내용이다. 일본은 '패한 적이 없다, 그러므로 차별한다'는 것이 '혐한(嫌韓)'의 근원이라고 저자는 설명한다.

이어 한일 갈등을 불러일으킨 이유를 양국 정상의 차이점, 우경화 일본 대 민주화 한국, 한일 국력의 역전 등 세 가지로 설명한다. 가장 주된 원인은 일본 사회의 우경화를 결과적으로 가속한 한일 양국 간 국력의 극적인 변화에 있다고 강조한다.

아울러 일본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일본의 병폐를 파헤친다. 아베 정권의 대응 실패의 원인으로 정부 조직을 구조조정하는 과정에서 보건소를 극단적으로 축소한 것과 만주에서 생체실험했던 731부대의 DNA를 물려받은 '전문가회의'(초기 코로나 대응 전문가 조직) 구성원들의 임상 경시 연구지상주의, 정보 은폐 체질을 꼽는다.

저자는 일본의 상대적 빈곤율, 연금소득 대체율, 국내총생산(GDP) 대비 교육에 대한 공적 지출 비율 등 각종 지표도 '선진국으로서 부끄러운 수준'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또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에 따르면 구매력평가지수(PPP) 기준으로 한국의 1인당 GDP는 2017년부터 일본에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2017년 한국의 1인당 GDP는 4만1천1달러, 일본은 4만827달러로 처음으로 역전됐다.

저자는 "이제 극일이 감정이나 생각의 영역에 머물지 않고 현실이 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이 책을 썼다"며 "우리 민족이 오랫동안 염원해온 '한일역전'의 순간이 다가오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라고 말한다.

이른바 '넘사벽(넘을 수 없는 4차원의 벽) 일본'과 '약소국 한국'은 더는 없다고 선언한 저자는 "여전히 '일본은 언제나 옳고, 우월하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는 상당수의 맹목적인 한국인을 위한 책이기도 하다"고 덧붙인다.

저작권자 © 월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