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투데이=서한나 기자]글로벌 제약사들이 연초부터 약값 인상을 주도하고 있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코로나19 치료제 이외 다른 의약품의 수익은 줄어든 만큼 가격 인상으로 손실을 보전한다는 취지다.

 

여기에 미국 대통령으로 조 바이든이 당선된 것을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약가 인하 행정명령 추진 등에 따라 입은 손실을 메우기 위한 방안으로 보인다.

 

조 바이든 당선인은 트럼트 대통령과 달리 물가상승률 수준의 약가 제한 정책으로 제약·바이오 산업에 우호적인 정책을 내놓을 것으로 기대된다.

 

4(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헬스케어 컨설팅업체 ‘46브루클린분석을 인용,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 앱비(Abbvie) 등 다국적 제약사들이 미국내 약품 500여종의 가격 인상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앞서 2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화이자,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사노피를 비롯한 70개 제약사가 새해 첫날인 지난 1일 미국내 300여 약품 가격 인상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번 분석 결과 가격이 인상된 약품 종류는 500가지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약품 가격 인상률은 평균 4.8%로 작년(5.0%) 보다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가격이 오른 약품의 숫자는 지난해보다 50%나 늘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약값을 인상한 업체들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화이자가 무려 200여종의 자사 제품 가격을 평균 5% 인상해 미국 제약업계의 약값 인상 움직임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이자는 이번 인상 조치는 인플레를 반영해 이뤄진 것이라며 아울러 신약 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조당하기 위한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건강보험 관련 시장분석 기업 3액시스어드바이저스(3AxisAdvisors)는 글로벌 제약사들이 미국에서 약가를 인상하는 이유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약가 인하 행정명령 추진과 코로나19 팬데믹 등에 따라 입은 손실을 메우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약값이 다른 나라에 비해 터무니없이 높다며 지난해 7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의약품 가격 인하 내용이 담긴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이에 제약업계는 소송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하기도 했다.

 

이어 올해에는 코로나19로 환자들이 병원을 찾아 대면으로 진료하는 일이 줄어들었고, 약 처방 판매가 현저히 떨어져 이로 인해 생긴 손해를 보완하기 위해 제약사들이 약값을 올린다는 것이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저작권자 © 월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