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동적인 기부는 점차 줄어들어

▲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 사회에 환원한 한 기업의 모습

[월드투데이 = 김지용 기자]

기업의 사회활동이 단순 기부와 같은 수동적인 방식에서 직접사업과 같은 능동적인 형태로 변하고 있다.

25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120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들의 사회공헌비용을 분석한 결과 기부형태는 62.5%, 직접사업형태는 37.5%로 조사됐다.

과거 10여년 전만 해도 직접사업 비중은 10%에도 미치지 못했으나, 기업 사회공헌이 본격적으로 체계가 잡힌 2000년 이후부터는 직접사업 비중이 매년 30%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경련은 설명했다.

기업의 파트너십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3곳 중 2곳은 NPO(비영리민간단체) 등 외부기관과 파트너십을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실제 기업 현장에서도 사회공헌 파트너십이 진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장애인용 안구마우스 '아이캔'을 개발한 삼성전자는 한국장애인개발원과 업무협약을 체결, 보급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는 기업이 사회공헌 아이디어를 내고 비영리단체가 참여하게 된 경우다.

'희망의 집수리' 사업을 추진 중인 현대제철은 지역사회에 주부봉사단(가정에너지 코디네이터)을 꾸려 정기적으로 취약 가정을 방문해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을 권장하고 있다. 기업의 참여로 인해 '가정에너지 코디네이터'라는 새로운 자원봉사 영역이 생긴 것이다.

사회공헌 파트너기관도 대학, 지자체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다. LG는 '사랑의 다문화학교' 사업을 통해 이중 언어를 구사하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2년간 무상으로 언어와 과학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이 사업에는 한국외국어대학교와 카이스트 교수진이 함께 참여하고 있다. SK가 설립한 사회적기업인 '행복한 학교'도 지자체와 지방교육청이 함께 해 방과 후 교육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전경련은 기업 사회공헌 파트너가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에 대해 기업이 사업의 취지에 부합하고 자사의 자원을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파트너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대해 한 사회 사업가는 "기업이 다양한 조직과 함께 파트너십을 이루어 함께 고민하면서 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있는 것은 대단히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월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