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O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무역 회복, 예상보다 빠르지만 지역적 격차 보여"

국가별 백신 접근성으로 격차 심화..."백신의 빠른 생산과 공정한 배분 필요"

2021-10-05     김나혜 기자

[월드투데이 김나혜 기자] WTO(세계무역기구)는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무역 회복이 예상보다 빠르면서도 국가에 따른 격차가 존재한다고 밝혔다.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said that the global trade recovery after COVID-19 is faster than expected, but there is a gap between countries.

[사진=글로벌 상품 거래량, WTO]

WTO는 지난 3월 2021년 세계 상품 거래량의 성장을 8.0%로 예상했으나, 현재는 10.8%로 예상하고 있다. 이어 2022년에는 4.7% 성장할 거라 예측한다.
The WTO is now predicting global merchandise trade volume growth of 10.8% in 2021—up from 8.0% forecasted in March—followed by a 4.7% rise in 2022.

이러한 대규모 성장은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전 세계적인 경제 슬럼프 때문이다. 성장 속도는 상품 거래량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에 다다름에 따라 점차 둔화될 것이라는 추측이다.
This massive growth is due to the global economic slump caused by COVID-19 last year. Growth should moderate as merchandise trade approaches its pre-pandemic long-run trend.

[사진=Pixabay]

이렇게 전반적으로 글로벌 상품 거래량이 성장하리라는 예상에도, 어떤 국가들은 전 세계 평균에 한참 못 미치는 성장을 보인다. WTO 사무총장 'Ngozi Okonjo-Iweala'는 백신에 대한 불공정한 접근성이 이러한 지역적 격차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Behind the strong overall trade increase, however, some countries fall well short of the global average. WTO Director-General Ngozi Okonjo-Iweala said that inequitable access to vaccines is exacerbating economic divergence across regions.

구체적으로는 중앙아시아,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가 수출 측면에서 가장 더딘 회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중앙아시아, 독립국가연합, 아프리카는 수입 측면에서 가장 느리게 회복할 전망이다.
In particular, the Middle East, South America and Africa look set to have the weakest recoveries on the export side, while the Middle East,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and Africa will have the slowest recoveries on the import side.

[사진=지역별 상품 수출입 변화, WTO]

지난 2019년 이후 지역별 상품 수출입량은 분기별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전망치대로라면 2022년 4분기까지 2019년 대비 수입이 아시아는 14.2%, 북미 11.9%, 중남미 10.8% 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석유 관련 수출 기반을 가진 지역은 지난 2020년의 상품 수출입이 모두 급감했고 회복도 완전하지 못했다.
It can be seen that the import and export volume of goods by region has increased quarterly since 2019. According to the current forecast, imports are expected to increase by 14.2% in Asia, 11.9% in North America, and 10.8% in Latin America by the fourth quarter of 2022. It appears that regions with oil-reliant export bases suffered large declines in both merchandise exports and imports during the 2020 recession, and that these losses have since been only partly recovered.

WTO 사무총장은 글로벌 경제 회복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백신 생산을 가속할 수 있고 공정한 배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WTO Director-General said it is essential to lay the foundation for faster vaccine production and fair distribution in order to continue the global economic recov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