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O, "코로나19 백신 제조 관련 관세 여전히 높고 장애물 커"

WTO, 관련 보고서 두 편 발표 원활한 백신 제조 위해 관세 줄이고 장애물 없애야

2021-10-13     김나혜 기자

[월드투데이 김나혜 기자] WTO(세계무역기구)에서 백신에 가해지는 관세와 장애물을 조사한 두 편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has released two reports examining tariffs and bottlenecks imposed on vaccines.

[사진=Pixabay]

첫 번째는 코로나19 백신 생산 및 백신 투입 관세에 초점을 맞춘 보고서이다. 이 보고서는 잠재적 장애물을 찾기 위해 27개 백신 제조 경제에 의한 최혜국 관세와 수입을 분석했다. 보고서에서 최소 5%의 평균 관세를 가진 생산 그룹은 '장애물'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The first one is a new study that focuses on COVID-19 vaccines production and tariffs on vaccine inputs. The report explores the most-favoured nation (MFN) tariffs and imports of these products by the 27 top vaccine manufacturing economies in order to identify possible “sensitive” or choke points. Any product group with an average tariff of at least 5% was deemed a possible “choke point”.

보고서는 백신을 만들기 위한 핵심 상품에 대한 관세는 특히 일부 개발도상국에서 여전히 높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는 국경을 넘은 흐름을 지연시키고 백신 제조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보고서는 백신 투입물에 대한 이러한 관세를 크게 줄이거나 없앨 것을 요구했다.
The report concludes that tariffs on critical products to manufacture vaccines remain high, especially in some developing countries. This might impede the flow across borders and increase the cost of vaccine manufacturing. The report calls for members's cooperation under the WTO to support the elimination or significant reduction of tariffs on these vaccine inputs.

[사진=Pixabay]

두 번째 보고서는 지난 7월 20일에 발표된 바 있는, 코로나19에 대항하기 위한 주요 물품들에 대한 무역 관련 장애물과 촉진 장치를 분석한 기존 보고서를 최신화한 것이다. 새로운 보고서가 가리키는 주제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백신 생산 능력을 확대시키기 위해서 필수 상품과 투입물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흘러야 한다는 것이다.
The second paper updates the “Indicative list of trade-related bottlenecks and trade-facilitating measures on critical products to combat COVID-19” that was previously published on July 2021. One common theme that emerges in this update is that essential goods and inputs need to flow efficiently and expeditiously to support the rapid scaling up of COVID-19 production capacity worldwide.

제조사들이 생산을 확대하고 다른 국가들에 새로운 현장을 설립함에 따라 생산 네트워크는 커질 뿐 아니라 점점 더 복잡해지고 국제화되고 있다. 한 구성 요소의 지연이 백신 제조를 심각하게 늦추거나 심지어 중단시킬 수 있기 때문에, 투입물이 신속하게 흘러들어가야 하며 공급 네트워크의 각 마디가 다른 것들과 균일하게 작동해야 한다.
As manufacturers scale-up production and establish new sites in different countries, the production network is not only becoming larger, but also increasingly complex and international. Because the delay of a single component may significantly slow down or even bring to a halt vaccine manufacturing, it follows that inputs need to flow expeditiously, and each node within the supply chain network needs to operate seamlessly with the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