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은행 '세계경제전망' 보고서 발표...경제성장 둔화, 빈부격차 심화 등

내년까지 세계 경제성장률 감소 예상...개발도상국에 큰 타격 전망 세계은행, 개발도상국 회복 저지하는 세 가지 장애물 분석

2022-01-18     김나혜 기자

[월드투데이 김나혜 기자] 세계은행이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코로나19와 함께 인플레이션, 빚, 불평등이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증가시킬 것이라 전망했다.
The World Bank predicted in its 'Global Economic Prospects' report that inflation, debt and inequality, along with COVID-19, will increase uncertainties in the global economy.

세계은행의 세계 경제 전망

[사진=세계은행]

지난 11일 세계은행의 보고서에 의하면, 세계 경제는 지난해 강력하게 반등했으나 코로나19 변종의 새로운 위협, 신흥국 및 개발도상국의 회복을 위태롭게 하는 인플레이션, 부채, 소득 불평등의 증가 속에서 뚜렷한 둔화세에 들어섰다. 글로벌 성장은 지난해 5.5%에서 올해 4.1%, 내년 3.2%로 현저하게 감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According to the World Bank's report in January 11, following a strong rebound in 2021, the global economy is entering a pronounced slowdown amid fresh threats from COVID-19 variants and a rise in inflation, debt, and income inequality that could endanger the recovery in emerging and developing economies. Global growth is expected to decelerate markedly from 5.5 percent in 2021 to 4.1 percent in 2022 and 3.2 percent in 2023.

오미크론 변이의 급속한 확산은 코로나19 사태가 가까운 시기에도 경제 활동을 계속해서 방해할 것을 암시한다. 여기에 더해, 미국과 중국을 포함한 주요국의 눈에 띄는 둔화는 신흥국과 개발도상국을 압박할 것이다. 각 개발도상국들의 정부가 활동에 필요한 지원을 제공할 정책이 부족한 시기에 새로운 코로나19의 발병, 지속적인 공급 사슬의 병목과 인플레이션 압력, 세계의 큰 구획에서 높아진 재정적 취약성은 경착륙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rapid spread of the Omicron variant indicates that the pandemic will likely continue to disrupt economic activity in the near term. In addition, a notable deceleration in major economies—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China—will weigh on external demand in emerging and developing economies. At a time when governments in many developing economies lack the policy space to support activity if needed, new COVID-19 outbreaks, persistent supply-chain bottlenecks and inflationary pressures, and elevated financial vulnerabilities in large swaths of the world could increase the risk of a hard landing.

[사진=AFP/연합뉴스]

이러한 둔화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성장률 격차 확대와 동시에 발생할 것이다. 선진국의 성장은 지난해 5%에서 올해 3.8%, 내년 2.3%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완만한 속도이기는 하지만, 생산과 투자를 코로나19 사태 이전의 추세로 되돌리기에 충분할 것이다.
The slowdown will coincide with a widening divergence in growth rates between advanced economies and emerging and developing economies. Growth in advanced economies is expected to decline from 5 percent in 2021 to 3.8 percent in 2022 and 2.3 percent in 2023—a pace that, while moderating, will be sufficient to restore output and investment to their pre-pandemic trend in these economies.

그런데 신흥국 및 개발도상국에서는 성장률이 지난해 6.3%, 올해 4.6%, 내년 4.4%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오는 2023년까지 모든 선진국들은 완전한 생산량 회복을 이루겠지만, 개발도상국들의 생산량은 코로나19 이전보다 4% 낮게 유지될 것이다. 많은 취약한 국가들은 타격이 더욱 크다. 취약하고 분쟁에 영향을 받는 국가들의 생산은 코로나19 이전보다 7.5% 소규모 섬나라들은 8.5% 낮을 것이다.
In emerging and developing economies, however, growth is expected to drop from 6.3 percent in 2021 to 4.6 percent in 2022 and 4.4 percent in 2023. By 2023, all advanced economies will have achieved a full output recovery; yet output in emerging and developing economies will remain 4 percent below its pre-pandemic trend. For many vulnerable economies, the setback is even larger: output of fragile and conflict-affected economies will be 7.5 percent below its pre-pandemic trend, and output of small island states will be 8.5 percent below.

한편 증가하는 인플레이션은 통화정책을 위축시키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그리고 선진국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지난 2008년 이래 최고 수치다. 신흥국과 개발도상국에서는 지난 2011년 이래 최고다. 많은 개발도상국에서는 경기 회복이 완료되기도 훨씬 전에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정책 지원을 철회하고 있다.
Meanwhile, rising inflation—which hits low-income workers particularly hard—is constraining monetary policy. Globally and in advanced economies, inflation is running at the highest rates since 2008. In emerging market and developing economies, it has reached its highest rate since 2011. Many emerging and developing economies are withdrawing policy support to contain inflationary pressures—well before the recovery is complete.

세계은행, 개발도상국 회복 장애물 분석

[사진=연합뉴스]

세계은행의 보고서에는 개발도상국들의 영구적인 회복을 막는 세 가지 장애물에 대한 신선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분석 섹션이 포함되어 있다. 첫 번째 장애물인 부채와 관련해, 보고서에서는 개발도상국의 지속 가능하지 않은 부채를 다루기 위한 최근의 국제 이니셔티브를 부채 완화를 촉진하기 위한 이전의 계획과 비교한다. 코로나19가 전 세계 부채를 반세기 중 최고 수준으로 올렸다는 것을 고려할 때 조정된 부채 경감 계획은 성공을 위해 더 높은 장애물에 직면할 것이다.
The latest Global Economic Prospects report features analytical sections that provide fresh insights into three emerging obstacles to a durable recovery in developing economies. The first, on debt, compares the latest international initiative to tackle unsustainable debt in developing economies with previous coordinated initiatives to facilitate debt relief. Noting that COVID-19 pushed total global debt to the highest level in half a century, it finds that future coordinated debt relief initiatives will face higher hurdles to success.

두 번째 섹션에서는 대부분이 상품 수출에 강하게 의존하는 신흥국 및 개발도상국에 대한 상품 가격의 호황과 불황 주기의 영향을 조사한다. 보고서에 의하면 상품 가격이 코로나19의 도래와 함께 폭락하고 급증한 지난 2년간 이 주기가 특히 강렬했다. 글로벌 거시경제의 발전과 상품 공급 요인은 이러한 주기가 상품시장에서 지속되게 할 것이다. 많은 원자재의 경우, 이러한 주기는 기후변화 및 화석연료로부터의 에너지 전환의 힘으로 증폭될 수 있다.
The second analytical section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boom-and-bust cycles of commodity prices for emerging market and developing economies, most of which are heavily dependent on commodity exports. It finds that these cycles were particularly intense in the past two years, when commodity prices collapsed with the arrival of COVID-19 and then surged. Global macroeconomic developments and commodity supply factors will likely cause boom-bust cycles to continue in commodity markets. For many commodities, these cycles may be amplified by the forces of climate change and the energy transition away from fossil fuels.

세 번째 섹션에서는 코로나19가 글로벌 불평등에 미친 영향을 밝힌다. 보고서는 코로나19가 부분적으로 지난 20년간 달성된 감소를 거스르며 글로벌 소득 불평등을 증가시켰다는 것을 발견해냈다. 코로나19는 백신 이용 가능성, 경제성장, 교육과 보건에의 접근, 직업과 소득 상실의 규모 등 인간 활동의 다른 많은 부분에서의 불평등도 증가시켰다. 이 추세는 교육의 중단이 인적자본의 손실로 이어지는 등 지속적인 손해를 남길 가능성이 있다.
The third analytical section explores COVID-19’s impact on global inequality. It finds that the pandemic has raised global income inequality, partly reversing the decline that was achieved over the previous two decades. It has also increased inequality in many other spheres of human activity—in the availability of vaccines; in economic growth; in access to education and health care; and in the scale of job and income losses. This trend has the potential to leave lasting scars: for example, losses to human capital caused by disruptions in education can spill over across gen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