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노동기구, 탈레반 집권 이후의 아프가니스탄 '노동 위기' 밝혀

정권 교체 이후 50만 건 이상 일자리 사라져 여성 노동 손실 더 커...지난해 3분기 16% 감소 농업, 공공 행정, 사회 서비스 등 주요 부문서 위기 심각

2022-01-20     김나혜 기자

[월드투데이 김나혜 기자] 국제노동기구가 지난해 탈레반의 정권 탈환 이후 아프가니스탄에 발생한 노동 손실을 밝혀냈다.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has uncovered labor losses in Afghanistan since the Taliban's recapture of power last year.

[사진=ILO]

국제노동기구(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는 지난 19일 '아프가니스탄 노동 전망' 브리핑에서 아프가니스탄의 노동 손실에 관한 추정치를 발표했다.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ILO) released estimates of Afghanistan's labor losses in a briefing, 'Employment prospects in Afghanistan: A rapid impact assessment', on January 19.

국제노동기구에 따르면, 지난해 8월 탈레반이 일으킨 아프가니스탄의 정권 교체는 아프간 경제를 마비시키고 계속해서 노동시장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정권 교체 이후 아프간에서는 지난해 3분기에 총 50만 개 이상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줄어든 일자리의 수는 올해 중반에는 90만 개에 이를 전망이다.
According to the ILO, change in administration in Afghanistan on August 2021 has paralyzed the economy and continues to have dire impacts on the labour market. After the event, a total of more than a half million jobs disappeared in the third quarter 2021. Job losses may reach 900,000 by mid-2022.

올해 중반까지 14%의 손실을 가져올 것으로 보이는 이러한 감소는, 정권의 변화로 직업을 잃게 된 노동자들과 그에 따른 경제 위기는 물론 노동 참여에 대한 여성의 제한을 반영한다.
The contraction – a 14 per cent loss by mid-2022 – reflects workers pushed out of employment due to the change in administration and ensuing economic crisis as well as restrictions on women’s participation in the workplace.

정권 변화가 없었을 경우의 가상 시나리오에 비해 아프간 경제의 총 근로 시간은 지난해 3분기 13%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총 노동자 수는 같은 시기 그러한 상황에 비해 8%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The total number of hours worked in the Afghan economy is estimated to have dropped by 13 per cent in the third quarter of 2021 compared to a hypothetical scenario with no change in administration. The total number of workers appears to have decreased by 8% compared to such situations during the same period.

[사진=REUTERS/연합뉴스]

아프간의 노동 손실은 여성에게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아프간의 여성 노동 수치는 이미 국제적 기준에서 극히 낮은 수준이었지만 이에 더해 지난해 3분기에는 여성 고용이 16% 감소했다. 정책의 변화가 없다면 여성 고용 손실은 올해 중반 21%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Women workers have been disproportionately impacted by the crisis. Already extremely low by global standards, women’s employment levels are estimated to have decreased 16 per cent in the third quarter 2021. In the absence of any substantial policy shift, female employment losses are expected to increase to 21 percent by mid-2022.

이와 같은 노동 및 경제 위기로 인해 농업, 공무원직, 건설업계 등 대규모 직업 손실이 발생하거나 무급 노동이 속출한 분야를 포함한 주요 부문들이 특히 심각하게 파괴됐다.
Because of the labor and economic crisis, key sectors have been devastated including agriculture, the civil service and the construction industry which have all seen large-scale job losses or workers go unpaid.

국제노동기구는 비상 고용, 고용 집약적 투자, 기업 홍보, 기술 개발에 초점을 두고 아프간 국민들에게 생산적인 고용과 양질의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The ILO continues to promote productive employment and decent work for the Afghan people with a focus on emergency employment, employment intensive investment, enterprise promotion and skills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