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CUS ON 미얀마] 쿠데타 1년, 그 이후
미얀마 곳곳 '침묵 파업' 및 반군정 시위 행렬 이어져 각국 및 각 기관들의 제재 현황 여전한 군부의 민간인 대상 폭력
[월드투데이 김수민 기자] 미얀마 쿠데타가 1년을 넘겨버린 가운데, 군부의 민간인 대상 폭력이 지속되고 있다.
쿠데타 1년, 지지 않는 시민들
지난 1일 쿠데타 1년을 맞이한 미얀마 곳곳에서는 미얀마 시민들의 '침묵 파업'과 기습 반군정 시위가 진행됐다. 침묵 파업은 군부에 명확한 저항의 뜻을 전달하기 위해 출근을 거부하고 장사를 하지 않는 반군부 운동이다.
같은 날 친군부 집회도 이어졌는데, 집회가 끝난 뒤 이들을 향한 수류탄 공격으로 2명이 사망하고 38명이 다쳤다.
쿠데타 수장인 민 아웅 홀라잉 최고사령관은 쿠데타 1주년을 하루 앞두고 국가비상사태를 6개월 연장하며 무력통치 의지를 분명히 밝혔다. 쿠데타 당시 군부는 2년 내로 새로운 총선을 약속했으나, 지난달 2023년 8월 총선을 계획하고 있다며 말을 바꿨다.
각국 및 기관들의 움직임
한국과 미국, 영국, 캐나다 등 10개국은 공동 성명을 통해 폭력 즉각 중단과 평화적 사태 해결을 위한 모든 당사자 간 건설적 대화 개시를 촉구했다. 지난달 31일 미국과 영국, 캐나다 정부는 공동으로 군정 핵심 인사들을 제재 대상 명단에 올리기도 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와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에서도 즉각적으로 폭력 종식 촉구에 나섰다. 안보리는 도움이 필요한 민간인들에 대한 인도적 지원 강화와 코로나19 백신의 안전한 전달 필요성도 함께 언급했다.
친군정 태도를 내비쳤던 아세안 의장국 캄보디아는 회원국들의 반발에 결국 백기를 들었다. 과거 군정 대표들의 아세안 행사 참석을 공언한 것과 달리, 이달 16~17일에 예정된 아세안 외교장관 회의에 결국 비정치적 인사를 초청했다.
지난 4일에는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에 대해 11번째 부패 혐의가 추가 기소됐다. 현재까지 징역 6년이 선고된 상태며, 11번째 부패 혐의까지 추가되면 최장 179년형 선고도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고통은 고스란히 민간인에게로
쿠데타 1년이 지난 지금, 민간인 약 1천500명이 군부의 총구 앞에 쓰러졌지만, 미얀마군의 민간인 대상 폭력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지난 5일에는 미얀마군이 6개 구, 14개 마을의 600여 채의 가옥을 아무런 이유 없이 불태워 4천 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또 앞서 침묵 파업에 참여한 시민 109명을 반테러법 위반 혐의로 체포했다.
군부의 압박으로 자녀들과 '의절'을 공개적으로 선언하는 부모들도 증가하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지금까지 확인한 '의절 선언문'만 약 570개에 달하는 것으로 밝혔다.
강가로 내몰린 난민들도 있다. 지난해 미얀마군 공세에 못 이겨 태국으로 넘어간 난민 3천여명이 송환됐다. 태국 당국의 난민촌 폐쇄와 살던 곳으로 돌아갈 수도 없는 이들은 강둑 인근에 임시 움막에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