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WHO] 원숭이 두창 유행에 대한 대응
더 나은 연구를 위한 노력 감염병 예방을 위한 공중 보건 지침
[월드투데이 조수빈 기자] 최근 발생한 원숭이 두창의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WHO R&D 청사진에서 협의회가 열렸다.
A consultation was held at the WHO R&D blueprint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n the recently occurring monkeypox.
WHO R&D 청사진에 의해 소집된 세계 연구 협의회가 500명 이상의 전문가들과 2000명 이상의 참가자들을 모아 원숭이 두창에 대한 지식 격차와 연구 우선순위에 대해 논의했다.
A global research consultation convened by the WHO R&D Blueprint gathered over 500 experts and more than 2000 participants to discuss knowledge gaps and research priorities for monkeypox, in view of the recent outbreaks of the disease in both endemic and non-endemic countries.
전 세계의 연구자들과 전문가들이 모여서 이틀간 바이러스의 역학, 전염 역학, 임상 특성, One Health 연구, 지역사회 참여, 그리고 임상 치료, 백신을 포함한 질병 관리를 위한 대책 등을 검토했다.
Researchers and high-level experts from all over the world met virtually for two days to review the available evidence on the epidemiology of the virus; its transmission dynamic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ne Health research; community engagement; and countermeasures for managing the disease, including clinical care, treatments and vaccines.
엔데믹 국가가 원숭이 두창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면 질병 발생률의 증가를 해결하고, 다른 지역으로의 이동을 억제 하는데에 있어 도움이 된다.
Improved control of monkeypox in endemic countries is critical to address increases in disease incidence, and to control importations and outbreaks elsewhere.
이날 협의회에 참석자들은 질병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엔데믹 국가의 연구자들과 다른 나라의 연구자들이 함께 협업할 수록 과학 지식이 더 빨리 발전할 것이라는 데에 동의했다.
Participants agreed that strengthened collaboration among researchers in endemic countries, who have a wealth of experience and data on the disease – along with researchers from other countries – will ensure that scientific knowledge advances more quickly.
전문가들은 질병 역학, 그 임상 결과, 그리고 다양한 전염 방식의 역할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신속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Experts underlined the need for expedited studies to better understand the disease epidemiology, its clinical consequences, and the role of various modes of transmission.
또한, 동물과 인간 사이의 전염 및 동물의 병원소를 이해하기 위한 포괄적인 OneHealth(최적의 건강을 위한 다양한 학문의 총체적 노력) 접근방식, 전 세계에서 이용할 수 있는 진단 도구의 개발 및 평가 개선, 감염 발생 지역사회에 대한 의사소통 및 참여 접근방식 개선, 지원 임상 치료를 최적화 하기 위한 연구, 최고 수준의 통제와 치료 방식에 대한 문서화, 데이터 및 과학적 근거의 신속하고 투명한 전달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In addition, the following research needs were highlighted: a comprehensive One Health approach to understand animal-to-human transmission and animal reservoir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better diagnostic tools that can be available around the world; improved approaches to communicate and engage communities in affected areas; studies to optimize supportive clinical care; documentation of the best control and treatment practices; and prompt and transparent communication of data and scientific evidence.
전문가들은 백신과 치료제의 효능을 더 잘 기록하고, 미래 시점의 발병에 어떻게 적용시킬지 이해하기 위한 임상 연구의 필요성 또한 강조했다.
Experts also emphasized the need for clinical studies of vaccines and therapeutics to better document their efficacy and understand how to use them in this and future outbreaks.
예방 정보 전달, 질병 감시 강화, 접촉 추적, 감염자 격리 및 최적화된 관리와 같은 공중 보건 지침을 지체 없이 만들어 전염을 예방하고 감염자들을 도와야 한다.
Implementing without delay public health activities – such as communicating prevention information, enhanced disease surveillance, contact tracing, isolation of cases and optimized care of of people with the virus – should be used to limit spread and help the people affected, no matter where they are.
이 협의회는 원숭이 두창의 다국적 발생에 대한 세계보건기구의 대응 활동이다.
This consultation is part of a range of WHO activities in response to this multi-country outbre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