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시위대, 트위터 활용해 시위 상황 전세계에 알려
[월드투데이 박무빈 기자] 트위터가 중국시위대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소셜미디어 트위터가 중국 당국의 접근금지 조처에도 중국 도처에서 진행 중인 '백지시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다.
30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트위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고강도 방역 정책 지속을 계기로 시작된 이번 시위 관련 상황을 공유하는 매개체가 돼 왔다.
중국내 소셜미디어에 대한 검열이 강화되자 인터넷 우회 접속 프로그램인 가상사설망(VPN)을 이용, 2009년부터 사용이 금지된 트위터로 시위 관련 정보와 사진, 동영상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에선 VPN 사용이 불법이지만 현지 젊은 층 상당수는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 해외 사이트를 이용해 왔다.
WSJ은 백지시위 참가자들이 당국의 검열에서 자유로운 외국에 머무는 트위터 사용자들을 통해 중국 내 상황을 전 세계에 알리고 있다고 전했다.
다수의 팔로워를 보유한 해외 이용자들이 중계역을 맡아 중국 내 시위 참가자들이 보내온 사진과 영상 등을 널리 퍼뜨린다는 것이다.
실제, '리 선생(老師)'이란 이름으로 알려진 한 트위터 이용자는 백지시위가 시작된 이후 시위 관련 자료가 담긴 메시지를 초당 수십건씩 받고 있다면서, 시위 전까지만 해도 온종일 오는 메시지가 수십건 수준이었다고 말했다.
2020년 5월 중국 내 검열 상황을 기록으로 남기자는 취지로 계정을 개설한 그는 "일어나 온라인 포스팅을 하고, 고양이 밥을 주는 것이 일과"가 됐다고 말했다. 그의 팔로워 수는 현재 75만9천여명으로 시위 전의 세 배를 넘어섰다.
WSJ은 이러한 상황이 트위터의 새 소유주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시험대에 올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트위터가 자유로운 표현의 장이 돼야 한다고 주장하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계정을 복구하는 등 행보를 보여왔다. 하지만, 그가 CEO로 있는 테슬라는 차량생산과 판매에서 중국시장에 크게 의존하는 실정이다.
트위터는 관련 문의에 답변하지 않고 있다고 WSJ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