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디플레이션 위기 고조...중국 당국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

통화 공급 급증과 물가 하락...디플레이션 전조

2023-04-27     유지연 기자
사진=AP/연합뉴스 제공

[월드투데이 유지연 기자] 중국 당국이 경기부양을 위해 금융권에 현금을 대거 푸는가 하면 연이어 금리를 인하·동결하는데도 물가가 정체하거나 하락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통화 공급 급증과 물가 하락이라는 '특이한 조합' 속에서 이런 상황이 디플레이션의 '전조'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은 26일 현재 상황을 약한 단계의 경제 회복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이미 디플레이션에 진입했다는 시각도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의 대표적 싱크탱크인 사회과학원의 류위후이 교수도 최근 중국 경제가 디플레이션에 진입했다면서 "침체(recession) 구간으로 빠져들고 있다"고 짚었다.

2021년 말 헝다(恒大·에버그란데) 디폴트를 시작으로 지난해 내내 부동산 기업들이 유동성 위기를 겪은 중국은 같은 해 10월 제20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대회)를 계기로 부동산 시장 살리기에 주력해왔다.

우한시 등 일부 지방정부 차원에서 2주택 구매를 허용하는 등의 부동산 투자 유인책이 나왔고 유동성 공급 조치가 이뤄졌다.

미국·유럽 등의 금리 인상과는 달리 중국은 금리 인하·동결, 은행 지급준비율 인하 등의 방법으로 돈을 풀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의 지방정부들은 중앙에서 풀린 자금을 이용해 부채 상환에 주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중국 기업들과 소비자는 '미래 불안'을 느끼는 기색이 역력하다. 불안한 미래 탓에 중국 소비자들이 은행 저축으로 향하는 발길을 주택 투자로 돌리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실업률도 문제다. 중국의 3월 16∼24세 청년 실업률은 19.6%로 1∼2월(18.1%), 작년 12월(16.7%)보다 올랐다.

인프라 투자로 고용을 늘려 소비 지출을 유도하겠다는 중국 당국의 의지가 읽히지만, 이로써 중국 소비자의 지갑이 열릴지는 미지수이다.

차이신은 "내수 부양이 제때 이뤄지지 않으면 일본의 장기적 디플레이션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면서 "세금 감면, 보조금·소비 바우처 지급 등의 조처로 소비 촉진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