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의 낸드 플래시 및 SSD 사업 인수 성공한 SK하이닉스
D램에 편중되어 있던 SK하이닉스, 낸드 플래시도 세계 2위

[월드투데이 이예찬 기자] SK하이닉스가 지난해 10월 인텔 낸드 플래시 사업부를 90억 달러(약 11조원)에 인수한다고 발표한 지 14개월 만에 승인받았다.

SK하이닉스는 인텔의 낸드 플래시 및 SSD(Solid-State Drive) 사업부 인수 계약을 발표한 이후 해당 사업장이 있는 한국 미국 등 7개 국가의 당국으로부터 차례대로 관련 허가를 받아왔다.

지난 7월 싱가포르 정부의 승인을 받은 뒤 마지막으로 중국 당국의 허가만 남겨둔 상태였다. 미국의 계속되는 중국 압박에 중국이 승인을 해줄지 의문이었지만 결국 지난 22일 중국의 반독점 심사 기구인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SAMR)이 인수에 대한 합병 허가를 했다.

[사진=sk하이닉스 홈페이지 캡처]
[사진=sk하이닉스 홈페이지 캡처]

인텔 낸드플래시 사업부를 인수하게 된 SK하이닉스는 이번 인수로 일본 키옥시아를 제치고 세계 낸드플래시 시장 3위에서 업계 2위로 올라설 전망이다.

회사 관계자는 "중국 당국이 이번 합병을 승인한 것에 대해 진심으로 환영하고 감사한다"라며 "남은 사후 통합 과정을 통해 낸드플래시와 SSD 사업 경쟁력을 높이겠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다른 경쟁사의 시장 진입을 도우라'는 조건을 달았다. 기업급 SSD 시장 진입을 원하는 자국 기업에 SK하이닉스가 안정적인 낸드 물량을 공급하라고 요구한 것이다.

SSD는 낸드 플래시를 이용한 저장 장치로 자기 방식 저장 장치인 HDD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SK하이닉스가 인수하기로 한 중국 다롄(大連) 소재 인텔의 반도체 생산 공장은 주로 기업 고객을 상대로 하는 SSD를 제조하는 곳이다.

SK하이닉스는 "기업이 고사양 SSD를 만드는데 필요한 낸드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받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지만 당사와 인텔이 보유한 SSD 기술이 이전된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sk하이닉스의 기업용 SSD PE8110 E1.S 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의 기업용 SSD PE8110 E1.S 사진=sk하이닉스]

이 외에도 중국의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향후 5년간 다롄 공장 생산량 지속 확대, 승인일 기준 과거 24개월 평균가 이상 판매 금지, 공평·합리·비차별 원칙으로 중국 시작에서 모든 상품 공급 등 총 6개의 조건을 내걸었다.

인수에 성공한 SK하이닉스는 인텔에 계약대금 90억 달러 중 70억 달리를 1차로 지급해 인텔로부터 SSD 사업과 중국 다롄 공장 자산을 이전 받고 오는 2025년 3월에 나머지 20억 달러를 추가 지급하여 지식 재산권과 인력 등을 흡수해 최종 인수를 마무리 짓는다.

낸드 플래시 세계 시장 점유율도 일본의 키옥시아를 추월하면서 2위에 등극하게 된다. 이로써 낸드 플래시 분야에서 한국 기업의 세계 점유율은 50%가 넘게 된다.(삼성전자 34.5%, SK하이닉스 약 19.4% - 2021년 3분기 매출액 기준)

저작권자 © 월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