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농림축산검역본부]

[세종=월드투데이] 서동준 기자 = 1일로 우리나라에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병된 지 15일이 됐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지난달 17일 첫 확진 후 파주·연천 등 경기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하다가 지난달 24일부터는 인천 강화에서 내리 5건 확진됐다.

이날 현재 전국적인 확진 건수는 9건을 기록하고 있다.

가축 전염병 차단에 나선 정부는 '최고 수준의' 방역과 선제적 살처분으로 맞대응하고 있다.

이날 오전 6시 현재 살처분 대상에 오른 돼지는 66개 농가, 97999마리에 달한다.

10만마리에 육박하는 것이다.

전국 사육 돼지 마릿수가 1200만 마리에 가까운 점을 고려하면 전국 돼지의 1% 가까이가 목숨을 잃게 된 셈이다.

살처분 마릿수가 급증한 데에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5건 잇따른 인천 강화군 내 모든 돼지를 살처분하기로 한 영향이 컸다.

이런 '특단의 조치'로 강화군 내 살처분 대상 돼지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5개 농가와 그 인근의 13280마리를 포함해 총 42988마리에 달한다.

10만 마리에 가까운 살처분 대상 가운데 이날까지 57개 농가, 85714마리가 살처분됐고 11개 농가, 12285마리가 남아 있다.

지난달 27일 이후 이날 현재까지 나흘간 추가 발생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1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첫 발생 이후 한결같이 긴장하고 있고, 안심할 상황이 아니다"라며 "언제 어디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할지 모르는 위중한 상황이다. 사태가 종식될 때까지는 고강도로 방역 관리를 하겠다"고 말했다.

돼지를 살처분할 때는 이산화탄소 등으로 안락사해 '생매장'을 막고 매몰 시에는 사체를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통에 넣어 환경 오염을 방지한다.

살처분 작업 참가자에 대해서도 심리 상담도 지원해 후유증을 예방하고 있다.

여전히 아프리카돼지열병의 감염 경로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이에 역학조사과 인력을 총동원해 지하수, 모기·파리 등 곤충, 진드기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사에 힘을 쏟고 있다.

환경부 역시 하천 오염 가능성을 따져보기 위해 임진강 수계를 대상으로 한 차례 조사를 벌여 음성 결과를 얻은 데 이어, 이달 8일까지 2차 조사를 추진 중이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지난달 28"제가 상상치 못한 다른 전염경로가 있을지도 모른다"고 강조하며 다양한 의견을 들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월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