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퇴 기자회견 후 인사하는 황교안 전 대표/사진=뉴스1

[서울=월드투데이]금준성 기자= 4·15 총선에서 미래통합당이 참패를 하고, 여당이 총 180석을 차지하면서 '거대여당'으로 탄생한 더불어민주당과 2년 뒤 있는 대선에서 다시 한번 맞붙기 위해서는 '강경투쟁 일변도' 행보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목소리가 내부에서 나온다. 참패한 미래통합당이 뼈를 깎는 쇄신을 요구받게 됐다.

17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통합당은 지역구에서 84석, 비례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의 비례대표 19석을 합해 총 103석의 의석을 얻는데 그쳤다.

대구·경북(TK)과 부산·울산·경남(PK)에서 56석을 얻었지만 121석이 걸린 수도권에서는 16석에 그쳤다. 수도권은 민주당이 103석을 차지하며 장악했다. 20대(31석)와 비교해도 반토막 수준이다.

이같은 참패는 지난 1년 동안 진행된 강경일변도의 대여투쟁을 하면서 지지층 결집에는 성공했지만 외연확장에는 실패한 결과이다.

실제 황 대표는 지난해 2월 자유한국당 대표 취임 이후 민생투쟁대장정, 삭발, 단식, 광화문집회까지 대규모 장외투쟁을 이어왔다. 총선을 앞두고 새로운보수당, 미래를 향한 전진4.0(전진당)과 신설합당하며 외연확장 의지를 보였지만 확장에는 사실상 실패했다고 볼 수 있다.

민주당은 단독으로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법안 처리가 가능해졌다. 국회선진화법이 무력화된 것은 물론 사실상 개헌을 제외하면 모든 것을 할 수 있다. 후반기에 접어든 문재인 정부의 안정적인 국정운영이 가능해졌다.

반면 통합당은 개헌저지선(100석)은 확보했지만 제1야당으로서의 존재감은 크게 약화됐다.

황교안 대표는 총선 참패의 책임을 지고 대표직에서 물러나면서 통합당은 총선 참배를 수습하고 21대 국회와 대선 등을 준비하기 위해 비상대책위원회로 전환하던지 조기전당대회를 통해 새로운 지도부를 뽑아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현재 심재철 원내대표가 대표 권한대행 체제를 유지하면서 비대위 구성에 돌입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당분간 정부·여당을 견제하는 역할보다는 당 재건에 집중할 것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고 통합당 내에서는 총선 참패가 21대 국회를 넘어 2년 후 대선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번 총선 결과가 보수정당에 대한 국민의 평가인 만큼 지금까지의 강경일변도의 투쟁방식에서 벗어나 새롭게 태어나야 미래가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월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