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서 밀 수입 의존 개발도상국 정치적 불안 높아져
우리나라 정부, '러시아 침공 위기' 우크라이나 교민에 출국권고

[사진=우크라이나 동부의 밀밭, 타스/연합뉴스]
[사진=우크라이나 동부의 밀밭, 타스/연합뉴스]

[월드투데이 유효미 기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국제적 식량난이 찾아온다는 예고가 나왔다. 우크라이나는 세계 5위 밀 수출국으로 주된 밀 공급국 중 하나다. 다만 최근 우크라이나 내 전쟁위기가 촉발되면서, 밀 가격이 나날이 급등하고 있다. 

미국 외교전문 매체 포린폴리시(FP)는 만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전쟁이 발발하면, 식량 가격이 폭등하고 주요 수입국들의 정치적 불안도 가세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밀 주요 생산국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우려...밀 가격 급등

우크라이나는 지구상에서 가장 비옥한 흑토지대 위에 있어 '유럽의 빵공장'이라고 불린다. 밀을 비롯한 곡물을 풍부하게 생산한다. 특히 전 세계 식량 안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밀의 생산과 수출에 우크라이나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2020년에 밀 2천400만t을 수확해 이 중 1천800만t을 수출할만큼 밀 생산 및 수출이 활발하다. 

지난 25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벨기에 브뤼셀 통합 단일 증권시장인 유로넥스트에서 거래된 밀은 전 거래일보다 9.75유로(3.5%) 오른 t당 290.75유로에 거래됐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마감 장에는 t당 291.75유로까지 올라 지난달 27일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한 선물 트레이더는 로이터통신에 "우크라이나 사태로 밀 시장에 많은 압박이 가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독일의 한 무역업자는 로이터통신에 "우크라이나에서 전투가 벌어지면 우크라이나의 밀 수출 물량이 제대로 빠져나가지 못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걱정을 표했다. 

국제 사회의 '식량 위기'로 번질 수도 있다

더욱이 러시아의 공격 목표인 우크라이나 동부는 곡물 생산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곳이라서 전쟁의 피해가 더욱 극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입에 의존도가 높은 나라도 주로 선진국보다 개발도상국이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 통계에 따르면 2020년 레바논은 소비하는 전체 밀의 약 절반을 우크라이나에서 수입했다. 예멘과 리비아도 각각 밀 소비량의 22%와 43%를 우크라이나에서 수입했다. 우크라이나 밀의 최대 소비국 이집트는 2020년 우크라이나 밀 300만t 이상을 수입했다. 이는 이집트 밀 소비량의 14%에 달한다. 

유럽연합(EU)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실제로 침공하면 대규모 난민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아울러 유럽이 식량 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높다고 관측하고 있다. 현재 EU는 식량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곡물 공급망 확보와 수입국 다변화 등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저지되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로 식량 위기가 지목되고 있는 만큼, 국제 사회는 식량 위기를 사전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사진=우크라이나의 여행경보단계 조정 현황, 외교부]
[사진=우크라이나의 여행경보단계 조정 현황, 외교부]

우리나라 외교부, 우크라이나 교민들에 출국 강력 권고

한편 우리나라 정부는 러시아 침공 위기 대응 차원에서 우크라이나 15개 지역 교민에 출국을 강력히 권고했다. 우크라이나 전역에는 우리 교민이 약 800명 체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의 군사적 긴장이 절정을 향해가하면서, 외교부가 지난 25일 우크라이나의 남, 동, 북부 지역의 12개 주(州) 여행경보를 3단계(출국권고)로 상향 조정했다.

외교부는 해당 지역 체류 국민은 긴요한 용무가 아닌 이상 가급적 빨리 안전 지역으로 출국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3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지역의 교민도 혹시 모를 상황을 고려해 안전한 지역으로의 출국을 권고했다.

우크라이나 주재 대사관 관계자는 이날 "아직 공관 직원이나 외교관 가족 철수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와 달리, 미 국무부는 이에 앞서 지난 23일 성명을 통해 우크라이나 주재 대사관 직원 가족에 철수 명령을 내리고, 비필수 외교관의 자발적인 출국을 허용했다.

다만 우크라이나 정부는 일부 서방 국가들의 대사관 부분 철수 조치에 대해 '시기상조'라고 비판했다. 이어 자국의 52개국 129개 대사관과 영사관 중 4개국을 제외한 나라들은 철수 계획이 없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월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