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 폐쇄로 위기...최근 재개방 움직임 보이기도
북한 정부, 식량 확보 및 소비 감축 지시
[월드투데이 김나혜 기자] 국경 폐쇄로 인한 식량난과 영양 부족 문제가 북한에서 지속되는 가운데, 북한 정부가 이에 맞서고 있다.
식량난으로 인한 영양 부족 문제
![[사진=추수하는 북한 주민들, 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111/406119_211325_4421.jpg)
북한은 지난해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중국과의 국경을 일찍이 폐쇄했다. 국경 폐쇄로 인해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도 사람과 물자가 오가기 어렵게 됐다. 이에 따라 중국으로부터의 식량 반입이 어려워졌고 물가는 치솟았다. 그리고 그 결과는 주민들의 생활에 참담하게 반영됐다.
지난 4일(현지 시간)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북한 전체 인구의 42.4%가 영양 부족 상태에 놓여 있다. 이는 전 세계 평균치가 8.9%이고 아시아 평균치는 8.2%라는 것을 고려했을 때 매우 높은 수치다.
심지어 아프리카 평균인 19%까지 크게 웃돈다. 르완다, 에티오피아 등 아프리카에서 최빈국으로 꼽히는 몇몇 국가들이 북한보다 영양 부족 비율이 낮다. 이러한 영양 부족 비율은 해가 거듭될수록 점차 심해지는 모습을 보인다.
하루 섭취 열량을 살펴보았을 때, 북한 주민은 세계 평균보다 30% 정도 적은 2075kcal을 하루에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북한 주민들이 필요한 열량의 68%만 섭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세계 평균인 124%에 한참 못 미치는 수치다.
식량난에 대한 북한 정부의 대응
![[사진=연설하는 김정은 국무위원장, 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111/406119_211324_4344.jpg)
이러한 상황에 대한 대응으로, 북한 정부는 식량 확보를 지시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28일 '낱알 한 톨까지 확보하라'라며, 주민들이 농촌 지원에 나설 것을 독려했다.
실제로 북한은 전군, 전민 총동원 체제에 돌입해 지난 10월 말경 벼 추수를 완료했다. 올해는 일조 시간도 증가한 결과로 지난해보다는 식량 사정이 개선될 것으로 예측됐다. 그렇지만 여전히 식량 부족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북한 정부는 이러한 상황에서 주민들에게 '적게 먹을 것'을 지시하기도 했다. 향후 몇 년 간 식량 소비를 줄이며 식량 부족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한편 식량과 경제의 위기가 지속되자 북한도 다시 국경을 개방하려 하는 듯하다. 해상교역은 이미 일부 재개돼 유니세프와 세계보건기구의 인도적 지원 물자가 반입된 바 있다. 북한에서는 더 많은 항구를 개방할 것으로 보인다. 해상교역뿐 아니라 육로 개방의 움직임도 감지된다. 북중 간 열차 운행이 이르면 이번 달부터 재개될 수 있다.
앞으로의 북한 정부 대응 방식 변화에 따른 북한 경제의 흐름을 지켜볼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북한 주민들의 기아 문제가 오래 지속될 경우, 이에 대처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인도주의적 도움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