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곳은 1년 내 학위 과정 중단 가능성…고등교육 재정 위기 심화

[월드투데이 박문길 기자] 영국 하원 교육위원회가 진행 중인 조사에서 영국의 고등교육 기관 50곳이 향후 2~3년 내 시장에서 철수할 위험에 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조사는 대학 재정 악화와 파산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는 현 상황을 점검하기 위한 취지로 진행되고 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25일 보도했다.
이 같은 내용은 최근 영국 고등교육 규제기관인 학생사무국(OfS)이 전체 대학 4곳 중 3곳이 내년에 적자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한 직후 나온 발표로, 대학 재정 위기가 예상보다 심각하다는 분석이 뒤따르고 있다.
보도내용에 따르면, 특히 위험군으로 분류된 50개 기관 가운데 24개는 내년 안에 학위 과정 운영 자체를 중단해야 할 정도로 상황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학생사무국은 이들 기관이 갑작스럽게 시장에서 퇴출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기관 및 관계자들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학생사무국 최고경영자 수잔 랩워스는 “이번 위험 평가는 매우 보수적으로 이뤄졌으며, 당장 무질서한 폐교가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현 상황은 결코 가볍게 볼 단계가 아니며, 정부와 이해관계자 간 긴밀한 조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조사에 따르면 철수 위험이 있는 기관 대부분은 규모가 작은 대학으로, 50개 중 30곳이 소규모 기관이었다. 나머지 대학도 학생 수가 3,000명을 약간 넘는 수준이며, 영국의 주요 대형 대학(수만 명 규모)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재정 구조가 취약한 것으로 평가됐다.
실제로 이미 시장에서 철수한 사례도 존재한다. 지난해 슈마허 칼리지는 학위 과정을 즉시 종료했으며, 2022년에는 라이브 및 녹음 예술 아카데미(ALRA)가 폐교했다. 위험군 24곳 가운데 17곳이 소규모 기관이며, 나머지 7곳은 중형 규모 대학으로 분류됐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하원 교육위원회 위원장 헬렌 헤이즈 의원은 최근 대학 관계자들과 진행된 비공개 원탁 회의에서 한 기관이 “올해 말 붕괴할 수 있다”는 경고를 전달한 사실을 공개하며 사태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 재키 스미스 대학 장관은 “즉시 붕괴가 예상된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재정 지속 가능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고 답했다. 스미스 장관은 향후 예산안에 포함될 국제 학생 등록금 부과안 도입, 등록금 상한 인상, 취약계층 생활비 지원 확대 등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영국 교육부는 7년간 등록금 인상 동결이 대학 재정 악화의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하며, “정부는 이미 대학 재정 기반 회복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실행 중”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