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온실가스 농도 최고치...말 뿐인 세계 각 국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탄소중립을 위한 강력하고 신속한 대응 필요해"
모호한 탄소중립 정책은 금융 위기로 이어질 수 있어

[월드투데이 김현정 기자] 기후위기에 처한 국제사회는 1990년대 중반부터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억제하는 방안을 논의해왔고, 이를 위해 2050년까지 전 지구적으로 '탄소중립'을 달성해야한다.
탄소중립은 화석 연료 사용 등 인간활동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 지구적 이산화탄소 흡수량과 균형을 이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더 높아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산화탄소의 순 배출량이 '0'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탄소 제로(Carbon Zero)' 또는 '넷 제로(Net Zero)'라고도 한다.
2010년 칸쿤 합의에서 지구 평균기온 2도 억제 목표를 공식적으로 채택하였으며 이어 2016년 발효된 파리협정 이후 121개 국가가 '2050 탄소중립 목표 기후동맹'에 가입하면서 전 세계의 이슈로 떠올랐다.

◆ 지켜지지 않는 세계 각 국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지난 10월 25일 세계기상기구(WMO)에 따르면 지난해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년도 대비 2.5ppm이 늘어났으며 이는 산업화 이전 농도의 149%에 해당하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WMO는 이 같은 온실가스 배출 증가가 지구 온도를 상승시키고 그 결과로 극단적인 날씨가 더 자주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이를 증명하듯 폭염, 산불, 홍수, 모래폭풍 등 이상 기후현상이 지구를 휩쓸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31일에 영국 글래스고에서 제 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이 열렸다. 약 2주간 이어진 COP26은 '글라스고 기후 조약'을 채택하고 지난 13일 폐막했다. 당초 폐막 예정이었던 12일에서 하루를 연장하며 치열하게 협상한 결과다.

대표 결정문으로 선언한 글래스고 기후합의에는 탄소저감장치가 없는 석탄 발전소의 단계적인 감축과 화석연료 보조금의 단계적 폐지를 촉구하는 문구가 추가됐다. 중국과 인도 등의 강한 저항으로 석탄 발전 문구가 '중단'에서 '감축'으로 변경됐지만 합의문에 석탄과 화석연료가 언급된 것은 최초로 큰 의미를 갖는다.
이와 함께 각국은 2022년에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지구 온도 1.5도 이내 상승 억제에 맞게 다시 내기로 결정했다. 지난 2015년 파리협정에서 이번 세기 하반기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로(0)'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설정한 바 있으나 서명했던 200개 정부들 중 단 하나의 정부도 그 공약을 지키지 못했다.
![[사진=pixabay]](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111/406302_211883_4549.jpg)
◆ 다시 외면받고 있는 기후변화 대응
COP26에 앞서 유엔환경계획(UNEP)이 발표한 '2021 배출 간극 보고서(Emissions Gap Report 2021)는 당사국들의 온실가스 감축 약속과 기후변화 억제 목표 달성에 실제로 필요한 감축량과의 격차를 분석했다. 유엔은 이 보고서를 통해 현재 각국의 탄소 배출 감축 수준으로는 지구 평균 기온을 절대 낮출 수 없을 뿐 아니라 오히려 최소 2.7도 상승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난 9월 말까지 각국이 제출한 새로운 NDC나 NDC를 제출하지는 않았지만 상향 계획을 발표한 한국, 일본 등 120개국과 유럽연합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종합해 분석한 결과, 계획대로 이행되더라도 2030년 말까지 줄어드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필요치의 7분의 1 수준인 7.5%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전보다 강화된 NDC를 제출한 국가는 절반가량에 불과했다. 또한 각국의 탄소중립 공약이 대부분 모호하고 2030년 NDC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특히 주요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 인도 등은 새로운 NDC를 제출하지 않았고 러시아, 브라질, 호주 등도 2015년에 비해 개선된 NDC를 내놓지 못했다.
보고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세계 곳곳이 봉쇄되며 탄소 배출량이 일시적으로 5.4% 감소했지만 각국이 점차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침체에서 벗어나고 소비 증진을 위한 재정을 투입하는 등 기후변화 대응이 외면받고 있다고 바라봤다. 이에 따라 2021년 한 해에만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330억 톤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고 경고했다.
UNEP는 앞으로 우리가 목표했던 지구 온도 상승을 1.5도 이내로 억제하려면 남은 8년 안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여야하는데 현재의 수준으로는 결국 기후 재앙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각국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기존 계획 대비 7배 상향하는 등 더욱 강력하고 신속한 감축행동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사진=지구 온난화 1.5 ºC 특별보고서 해설서, 기상청/환경부]](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111/406302_211882_4219.jpg)
한편 전 세계 주요 금융당국들은 수년 전부터 기후 변화가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중대한 위협을 제기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영국의 한 매체는 각국 정부의 정책이 선명하고 일관돼야 금융 혼란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고 전했다.
이처럼 단순한 환경 오염의 문제를 넘어선 기후 재앙 위기에 직면한 전 세계, 미래 세대와 지구를 위해 '탄소중립'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