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변이 국내 확진자 발생
의료시스템 과부화 우려...방역 당국, 거리두기 4단계 검토

[코로나19 새 변이인 오미크론 변이와 관련한 이미지. 사진=AFP /연합뉴스]
[코로나19 새 변이인 오미크론 변이와 관련한 이미지. 사진=AFP /연합뉴스]

[월드투데이 한진리 기자] 오미크론 변이 국내 확진자가 나오면서 방역 당국이 '비상 계획' 카드를 꺼내들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오미크론 확진자 발생...거리두기 상향 검토 

2일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중대본) 관계자는 "앞선 거리두기 4단계 수준으로 모든 조치를 열어놓고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사적 모임 인원 축소를 비롯해 영업시간 제한, 집합금지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나이지리아를 방문했던 40대 부부가 확진 판정을 받은데 이어 지인인 30대 남성과 부부의 자녀까지 총 5명이 확진됐다. 이들 부부와 지인이 접촉한 사람만 최소 67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별도로 나이지리아를 방문한 50대 여성 2명도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오미크론 변이는 델타보다 다섯배 강한 전염력을 가지고 있다. 1일 기준 신규 확진자가 5000명을 넘어서며 확산하는 가운데, 오미크론 변이라는 창에 방역 체계란 방패가 뚫린 것이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의료 시스템 포화...전문가들 "거리두기 시작해야"

의료계 일각에서는 의료시스템 과부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가 당장이라도 '비상 계획'으로 대표되는 고강도 거리두기를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가만히 두면 하루 신규 확진자 1만 명은 시간문제다"라며 "더 늦기 전에 사적 모임 인원 제한 등 고강도 거리두기를 다시 시행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최재욱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 역시 "중환자 의료체계가 붕괴에 직면한 상황"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실제 2일 기준 서울의 코로나19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90%를 넘어섰다. 전국적으로도 80%에 근접한 상태로 대전에는 입원 가능 병원이 없고, 충북에는 한 개만 남아 있는 상태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청와대의 인식이 안일하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의료체계에 모든 것을 맡겨 놓으면 환자가 줄지 않을뿐더러 의료진들도 어쩔 수 없는 상황에 손을 내려놓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청와대는) 지금이라도 움직여달라"라는 글을 올렸다. 

이 교수는 앞서 청와대가 발표한 방역대책에 대해 "유행 상황에 대한 통제에 대한 내용은 다 빠져있고, 추후 논의하겠다 정도만 나와 있다"라며 이는"'의료 역량만 확충해서 어떻게 버텨보겠다'라는 메시지로밖에 전달이 안 되는 내용들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단 청와대의 인식 자체가 지금의 위기 상황에 대해서 너무 안일한 게 아니냐, 또는 지금의 위기상황을 그냥 의료 확충에서 어떻든 버텨볼 수 있지 않느냐고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라며 "그 부분이 안타까워서 드린 말씀"이라고 덧붙였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 사진=보건복지부 제공출처 : 한국면세뉴스(http://www.kdfnews.com)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 사진=보건복지부 

거리두기 4단계, 자영업자·소상공인 우려 ↑ 

정부가 거리두기 단계 상향을 검토하면서 영업의 소폭 활기를 얻은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반발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시행됐던 거리두기 4단계에서는 사적 모임 인원 제한부터 영업금지까지 사회 전반적으로 광범위한 방역 조치가 취해진다. 

4단계에서 사적 모임 인원은 최대 4명이었으며 오후 6시 이후에는 2명까지만 모일 수 있었다. 식당, 카페의 매장 영업시간은 오후 10시까지고 이후에는 포장·배달만 허용됐다.  유흥업소 및 홀덤펍, 무도장, 콜라텍 등은 집합금지 업종에 해당해 영업이 전면 금지된다.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 사진=AFP/연합뉴스]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 사진=AFP/연합뉴스]

그러나 정부가 어렵게 시작한 일상회복을 중지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만큼, 거리두기 단계를 상향해도 영업 시간, 모임 인원 등을 다소 완화할 수 있다는 예측도 제기된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비상계획에 대한 계획을 세울 때 패키지 형태의 정책자금들을 반드시 책정하고 자영업자, 일용직 노동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책이 동시에 시행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당국은 오미크론 변이가 이미 지역사회 내에 전파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각계의 의견을 취합 중이며, 거리두기 강화 대책을 내일(3일) 오전 11시 중대본 브리핑을 통해 발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월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