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전력, 지난 21일 원자력위에 오염수 방류 계획 심사 신청
한국, 중국 등 주변국 및 일본 어민 등 반발
당초 계획보다 일정 늦어졌지만 시설 공사 등 이미 시작돼
[월드투데이 김나혜 기자] 지난 21일 도쿄전력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 심사 신청에 대한 반발이 여전한 가운데, 방류 계획은 계속해서 진행 중이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112/406837_213484_1759.jpg)
도쿄전력은 지난 2011년 폭발 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 제1원전의 운영사다. 도쿄전력은 해당 원전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를 현재까지 다핵종제거설비로 정화해 저장탱크에 보관해두고 있다. 지난 4월 일본 정부는 이러한 오염수를 바닷물로 희석해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 농도를 기준치 이하로 낮춰 해양에 방류하겠다고 발표했다.
일본 정부의 방침에 따라 지난 8월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제1원전 인근 바다에 오염수를 배출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해양 방류를 위한 설비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의 허가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지난 21일 원자력위에 방류 계획 심사를 신청한 것이다.
오염수 방류 계획 및 심사 신청에 대한 반발
![[사진=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112/406837_213485_1926.jpg)
후쿠시마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하겠다는 일본의 계획은 그간 주변국들의 반발을 사 왔다. 도쿄전력이 방류 심사를 신청하기 하루 전인 지난 20일 열린 중국과 일본 외교 당국의 국장급 인사들이 참여한 온라인 해양 실무 회의에서 이 문제가 등장하기도 했다. 회의에서 중국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를 거론하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반대 입장을 표했다.
도쿄전력의 이번 심사 신청에서도 역시 주변국들이 반대 의견을 내비쳤다. 한국은 도쿄전력이 심사 신청을 하자 지난 21일 긴급 관계차관회의를 개최했다. 또한, 한국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에 유감을 표하고 관련된 내용을 담은 서한을 발송하기도 했다. 서한에는 국외 이해관계자의 의견 반영, 관련 정보 투명하게 공개 등의 요청이 담겼다.
일본 내부에서도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존재한다. 도쿄전력은 오염수를 해안으로부터 1km 떨어진 곳에 방류하겠다고 밝혔지만, 그렇게 하더라도 어업 등 활동에 피해를 미칠 것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에 도쿄전력은 이해 당사자들을 설득할 계획이다.
계획된 일정의 변화
![[사진=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112/406837_213486_209.jpg)
도쿄전력의 당초 계획은 올해 9월에 심사를 시작하는 것이었으나, 그보다 3개월 정도 일정이 늦어졌다. 이에 오는 2023년 봄부터 방류를 시작하겠다고 밝힌 일정도 계획보다 늦어질 수 있다. 도쿄전력의 심사 신청이 늦어지자 실제로 지난 2일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는 언론에 오염수 방류를 2023년 봄부터 시작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견해를 보였다.
그렇지만 지난 15일 일본 원자력위 위원장이, 원자력위의 심사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기술적인 어려움이 크지 않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오염수 방류 계획의 진행이 예상보다 신속해질 가능성도 있다.
오염수 방류 시설 공사 시작
![[사진=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112/406837_213487_2058.jpg)
일정이 늦어질지라도 오염수 방류 계획은 진행되고 있으며, 오염수 방류를 위한 시설의 공사도 시작되었다. 지난 10일 도쿄전력은 오염수 방류 전 삼중수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오염수를 저장하는 시설의 공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지난 21일 도쿄전력이 원자력위에 신청한 심사가 통과되면 이러한 공사가 더욱 본격화될 것이다. 지난 10일 공사에 착수한 오염수 저장소와 함께 오염수를 1km 떨어진 곳까지 보내기 위한 해저터널 등의 시설도 필요하다. 심사 통과 뒤 그러한 시설들에 대한 공사도 시작되며 오염수 방류 계획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