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국제 원재료 수입물가 42.3% 오르면서 생산자물가 5.7%p 상승 압력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기업 영업이익률이 2.3%p 감소하는 등 채산성 악화돼
=핵심 원자재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국제 물류 지원 강화가 필요해
지난해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원재료 수입물가가 13년만에 최대치로 상승하면서 생산자물가가 5.7%p 인상 압력을 받았고, 기업의 영업이익률도 연간 2.3%p 감소하는 등 물가 안정과 기업 채산성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23일 보고서를 통해 2021년에 수입 물가를 구성하는 주요 항목 가운데 원재료 수입물가의 상승률이 42.3%로 가장 높았으며,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의 54.6% 이후 13년 만에 최대치라고 밝혔다.
작년에 원재료 수입물가가 급상승한 이유는 국제 원유가 유종별로 현물가격 기준으로 51.4%에서 최대 58.7%까지 올랐고, 비철금속 가격도 알루미늄 42.2%, 아연 31.5% 오르는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한경연은 특히 2021년에 원재료 수입물가가 42.3%나 오르면서 지난해 생산자물가를 5.7%p 상승시키는 악영향을 미쳤으며, 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 또한 2.8%로 종전보다 연간 2.3%p 떨어뜨렸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지난해 원재료 수입물가 급등을 기업들이 가격 전가로 해소하는 과정에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6.0%p 상승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픽사베이]](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201/407357_214998_4438.jpg)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이 보고서를 내놓으면서 "우리나라는 원유와 비철금속 등 원자재 수입 비중이 높아 국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 국내 물가상승 압력이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고 지적하면서 "앞으로 핵심 원자재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수입 관세를 인하하면서 국제물류 지원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수입물가 상승 압력을 최대한 완화해야만, 올해의 물가 안정 목표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라고 강조했다.
문중선 기자 jsmoon1679@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