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민규 세레머니 두고 중국의 선 넘은 비난 이어져
계속되는 올림픽 논란에 과열 중인 반중, 반한 감정

[월드투데이 김수민 기자] 계속되는 올림픽 논란으로 반중, 반한 감정이 과열되고 있다. 

[사진=스피드스케이팅 은메달리스트 차민규, AP/연합뉴스]
[사진=스피드스케이팅 은메달리스트 차민규, AP/연합뉴스]

은메달리스트 차민규 시상식 논란...중국 조롱 이어져

 지난 12일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500m 경기 은메달리스트 차민규가 시상대에 오르기 전 시상대를 손으로 쓰는 동작을 한 것을 두고 중국 네티즌들의 조롱이 이어지고 있다.

시상대를 쓰는 행동은 4년 전 평창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계주 5,000m에서 동메달을 수상한 캐나다 선수들이 보인 행동과 비슷했다. 당시 자국 동료 선수들의 판정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행한 동작이라는 추정이 제기된 바 있다.

[사진=시상대에 오르기전 세레모니를 하고 있는 차민규, AP/연합뉴스]
[사진=시상대에 오르기 전 세레모니를 하고 있는 차민규, AP/연합뉴스]

이를 근거 삼아 중국인들은 차민규가 심판의 판정에 항의하는 행동이라며 비난했다. 일부는 "컬링인 줄 아나 보다. 빨리 닦으면 미끄러진다", 중국 청명절에 성묘하는 것에 빗대어 "자신의 묘비를 성묘하는 것이다" 등 도를 넘는 조롱을 하기도 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최신 규정을 언급하며 차민규가 은메달을 박탈당할 수 있다는 황당한 주장도 잇따랐다.

이번 논란에 대해 차민규는 지난 13일 소중하고 값진 자리인 시상대에 더욱 경건한 마음으로 올라가겠다는 취지로 존중의 의미를 담은 세레머니였다고 입장을 밝혔다.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500m에서 중국 선수 가오팅위가 금메달을 땄으나 차민규와 다른 조에서 경기를 진행했으며, 앞선 쇼트트랙에서와 같은 편파 판정 논란은 없었다.

[사진=한복이 한국 것임을 알리는 미국 담당관 트위터, 로이터/연합뉴스]
[사진=한복이 한국 것임을 알리는 미국 담당관 트위터, 로이터/연합뉴스]

올림픽 기간 내 끊임없이 이어지는 한중 사이 논란

개막식부터 불거진 한국과 중국 사이의 논란이 올림픽이 진행되는 와중에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개막식 당시 한복을 입고 댕기머리를 한 여성이 중국 56개 민족 대표 중 한 명으로 등장했다. 개막식 논란의 쟁점은 중국의 의도에 있다. 올림픽 이전부터 중국이 수차례 보인 문화 침탈 시도해왔기 때문이다. 

또 중국은 조선족을 자국 소수민족으로 공식 포함하여, 한복 뿐만 아니라 갓, 사물놀이 등도 중국 내 소수민족 문화로 표현해 왔다. 이에 한국 네티즌들이 '동북공정'에 빗대 '한복공정'이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사진=결승에서 1등으로 달리고 있는 헝가리 류 샤오린을 잡아 당기는 중국 선수, 로이터/연합뉴스]
[사진=결승에서 1등으로 달리고 있는 헝가리 류 샤오린을 잡아 당기는 중국 선수, 로이터/연합뉴스]

한중 감정의 골은 쇼트트랙 남자 1,000m 경기에서 편파 판정 논란으로 더욱 깊어졌다. 준결승에서 각조에서 1, 2위를 차지한 황대헌과 이준서가 옷깃도 스치지 않은 상황에서 레인 변경에서 반칙을 범했다며 실격 처리를 당한 것이다.

그 결과 3위에 오른 중국 선수들이 결승에 올랐고, 결승에서도 홈 어드밴티지를 받아 금메달과 은메달을 수상했다. 

계속되는 논란으로 한국에서도 중국 선수들의 과거 발언을 재편집하거나 한국 선수단이 금메달을 수상해 한국 코치진이 퇴출 위기에 빠졌다는 등 유언비어를 퍼뜨리는 일부 유튜브 채널들이 나타나고 있다. 

반중·반한 감정을 의식한 듯 한국과 중국 언론은 차민규의 시상식 장면이 화제가 되는 것과 달리 특별한 보도를 하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 월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