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성명에 '납북자·국군포로 해결' 첫 명시

[월드투데이 박무빈 기자] 한미 정상회담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북한인권에 대해 강력히 입장을 드러냈다.
26일(현지시간) 회담 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한미 정상은 "북한이 북한 주민의 인권과 존엄성을 노골적으로 침해하고, 희소한 자원을 대량살상무기(WMD) 개발에 투입하는 결정을 내림으로써 한미동맹에 심각한 안보적 도전을 야기하는 것"을 규탄했다.
북한인권 상황을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과 연계해 규탄하기도 했다. 작년 12월 유엔(UN)총회에서 채택된 북한인권 결의를 비롯해 최근 유엔은 이 같은 접근방식으로 북한인권 상황을 반복적으로 지적한 적 있다.
특히 이번 공동성명에는 "한미 양국은 가장 취약한 북한 주민들에게 인도적 지원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으며 북한 내 인권을 증진하고 납북자, 억류자, 미송환 국군포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번 정상회담 직전 북한인권 단체들은 납북자, 억류자, 국군포로 송환을 정상회담 공식의제로 다루고 공동성명에 담으라고 촉구하는 공개서한을 두 정상 앞으로 보냈다. 이러한 호소가 수용된 것이다.
아울러 공동성명에서 두 정상은 북한의 7차 핵실험에 대해 "북한의 핵실험이 국제사회의 강력하고 단호한 대응에 직면할 것임을 재확인한다"고 경고했다.
지난해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핵 프로그램'이 '중대한 위협'이라고만 언급된 것과 비교하면 7차 핵실험 가능성이 커진 것으로도 풀이된다.
관련기사
박무빈 기자
worldtodaykorea@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