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의 위험성 보여주는 사례
[월드투데이 이하경 기자] 미국 하와이주 하와이섬에서 2주째 산불이 진화되지 않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108/404171_206793_2326.jpg)
12일(현지시간) AP 통신에 따르면 지난 3일 발생한 산불이 2주째 잡히지 않으면서 여의도 면적(2.9㎢)의 약 62배에 달하는 181㎢를 태웠다. 역대 최대 수준인 이번 산불의 원인은 기후 변화로 건기가 극심해지는 하와이의 기후 때문이라고 AP는 전했다.
하와이 주민 쿠무 미카 카모호알리는 "이렇게 큰 화재는 처음 본다"면서 "과거에도 여러 차례 산불이 발생하긴 했지만, 이정도는 아니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미국 서부를 비롯한 전 세계 곳곳의 대규모 산불이 기후 변화로 인한 폭염과 가뭄의 위험성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동시에 습기가 많은 열대 섬에서도 소규모 산불이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하고, "이로 인해 수백만 명의 주민에게 영향을 미치는 생태계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와이대 생태계 및 산불 연구원인 클레이 트라우어니히트는 "인간이 태평양 섬에 들어오기 전에는 화재가 매우 드물었다"면서 "(하와이의) 토종 생태계는 화재가 빈번하지 않을 때 진화했고, 그로 인해 화재가 나면 산 정상에서 해수면까지 환경에 영향을 준다"고 말했다.
하와이주 소방관 마이클 워커도 "산불은 자연 생태계를 변화시키고 숲을 풀밭으로 바꾸고 있다"고 덧붙이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출처= 연합뉴스]
관련기사
이하경 기자
handa0126@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