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월 개최되는 베이징 동계올림픽
오커스(AUKUS)·파이브 아이즈(Five Eyes) 외교적 보이콧 확정
진짜 목적은 '대중국 견제'

[월드투데이 한진리 기자] 미국을 필두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행렬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중 사이에서 줄타기 하는 국가들의 셈법이 복잡하다. 

[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과 에마뉘엘 마크롱(오른쪽) 프랑스 대통령.  사진=AFP/연합]
[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과 에마뉘엘 마크롱(오른쪽) 프랑스 대통령.  사진=AFP/연합]

 '외교적 보이콧' 오커스·파이브 아이즈 모두 동참

외교적 보이콧의 서막을 올린 국가는 미국이다. 

지난 6일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조 바이든 행정부는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에 외교적·공식적 대표를 파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같은 결정은 신장위구르에서 중국의 지속적인 종족 학살과 반인도적 범죄, 기타 인권 유린을 고려한 것"라고 덧붙였다. 

'외교적 보이콧(diplomatic boycott)'은 올림픽에 선수단은 출전하되 개·폐회식에 참석하는 정부 고위급 대표단은 파견하지 않는 것이다.

미국의 공식 선언 이후 영미권 기밀 정보 동맹체 '파이브 아이즈'(Five Eyes, 미국·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와 대중국 견제 안보 동맹 '오커스'(AUKUS, 미국·영국·호주) 가입국 모두가 차례로 보이콧 동참 의사를 밝혔다.

기사다 후미오 일본 총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일본, 기시다 총리 불참 확정

전날까지 미온적 태도를 유지하던 일본도 외교적 보이콧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20일 니혼게이자이, 산케이 신문에 따르면 하야시 외무상은 NHK 방송에 출연해 "베이징 동계올림픽 대응은 중국의 인권 상황도 포함해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여러 사정을 감안해서 일본의 국익에 근거해 적절한 시기에 결정할 것"이라며 중일 관계 또한 '여러 사정'에 들어간다고 부연했다. 

앞서 16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나 자신이 참가하는 일은 예정하고 있지 않다"며 자신의 불참 의사를 확정한 바 있다.

일본 정부는 최종적으로 각료 파견은 보류하되, 각료보다 격이 낮은 스포츠청(庁)의 무로후시 고지 장관 파견 혹은 야마시타 야스히로 일본올림픽위원회 회장 등 올림픽 관계자 방중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사진=AFP]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사진=AFP]

러시아·한국 "보이콧 없다...만남 고대"

반면 러시아는 베이징 올림픽 참석 의사를 밝혔다. 

지난 15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진행된 화상 정상회담에서 "우리가 내년 2월에 직접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시 주석 또한 "당신이 베이징동계올림픽 개회식에 참석키 위해 중국을 방문할 것을 기대한다"며 "우리의 올림픽 회동을 고대한다"라고 환영했다.  

이어 푸틴 대통령은 "러중 관계를 21세기 국가간 협력의 진정한 모범이라고 평가한다"라고 덧붙이며 동맹 관계를 공고히 했다. 

[문재인 대통령. 사진=청와대]
[문재인 대통령. 사진=청와대]

미중 관계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고 있는 한국 정부도 참가 여부를 명확히 했다. 

지난 13일 호주를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은 공동기자회견에서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에 대해서는 미국을 비롯한 어느 나라로부터도 참가의 권유를 받은 바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은 미국과 동맹을 외교와 안보의 근간으로 삼고 있으나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중국과 관계도 매우 중요하다"며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그리고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서 중국의 건설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당초 한국 정부는 이번 올림픽을 계기로 종전선언을 마무리 짓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진척을 염두했으나 미국의 불참으로 어그러진 상황이다. 이에 따라 미중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면서 중국과의 경제적 유대 관계를 공고히 하는 행보를 택한 것으로 보인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인권문제 표피 둘렀지만...진짜 속내는 '대중국 견제'

주요국이 인권 탄압을 문제로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했지만, 실상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이란 해석이 지배적이다.

미국을 주축으로 한 오커스, 파이브 아이즈 회원국들의 가장 시급한 컨센서스는 대중국 견제다. 실제 미국과 영국은 중국의 대양 진출을 봉쇄하기 위해 63년 만의 호주에 핵잠수함 기술을 공유하는 등 기민하게 움직이고 있다. 

결국 올림픽이라는 국제적 행사에서 외교적 보이콧을 수단 삼아, 인권 문제를 수면 위로 끊임없이 올라오게 해 중국의 외교적 입지를 축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신화/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신화/연합뉴스]

시진핑, 연임 걸림돌 될까 '발 동동'  

미국의 셈법처럼 중국을 가장 불편하게 하는 것은 보이콧 확산 과정에서 불거지는 신장 자치구 인권 문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전날 ‘2021 남남인권포럼’에 보낸 축하 서한에서 "인권 실천의 방법은 다양하고 세계 각국 국민은 자국의 상황에 적합한 인권 발전의 길을 선택할 자유가 있다”고 강조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 역시 "미국이 신장에 강제노동이 존재한다고 중국을 먹칠하는 것은 우스갯소리"라며 "미국이 인권문제와 관련해 중국을 비난하는 것은 사실과 맞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최근 공산당 중앙위원회 6차 전체회의 세 번째 연임을 위한 기틀을 마련한 시 주석에게 베이징 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는 매우 중요하다. 각종 출혈을 감수하고 국가적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는 베이징 올림픽이 국제 사회에서 '찬밥' 신세로 전락하게 될 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월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