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 보장안을 향한 러시아의 집착
가스 공급 중단, 과징금 등 러시아의 압박 시작
미국, 우크라니아 등의 대응

[월드투데이 김수민 기자] 서로를 향한 각국의 다양한 압박 속에서 신냉전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푸틴 대통령, 사진=AP통신/연합뉴스]
[푸틴 대통령, 사진=AP통신/연합뉴스]

지난 26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다시 한번 미국과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에게 자국이 제시한 안보 보장 제공 제안을 받아들일 것을 강조했다.

러시아가 제안한 안보 보장안에는 옛 소련 국가들의 추가적 나토 가입 금지, 우크라이나 및 인접 지역에 대한 나토 무기 배치 금지 등이 포함돼 있다. 

러시아 측은 안보 보장안에 대해 최후통첩이 아니며, 법률적 구속력 있는 외교적 협상 결과를 기대한다는 입장을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안보 보장안 거부 시, 어떠한 군사·기술적 대응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표시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가스 공급 중단

러시아가 서방을 압박하기 위해 꺼내든 첫 번째 카드는 '에너지 공급 중단'이다. 이달 18일부터 '야말-유럽 가스관'을 통한 가스 공급량이 급감하다 지난 21일부터 8일째 가스 공급이 중단된 상태다. 

이번 러시아의 지정학적 압박은 당장 에너지가 급한 유럽이 가장 우려했던 상황이다. 유럽에 본격적 추위가 닥치면서 정전 상태 및 난방 차질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유럽 내 가스 가격도 폭등하고 있다. 심리적 경계선인 1천㎥당 2천 달러선을 훌쩍 넘으면서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러시아는 유럽연합(EU) 가스 수요의 40% 정도를 공급하고 있다. 유럽 수출을 위한 주요 수송로에는 '야말-유럽 가스관', '우크라이나 경유 가스관', '노르트 스트림' 등이 있다.

지난 24일에는 우크라이나 경유 가스 공급도 20% 가까이 줄였다. 발트해 해저를 관통하는 러시아-독일 직결 '노르트 스트림'만이 유일하게 운영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노르트 스트림 가스관 수송용량을 늘리고 지난 9월 완공한 노르트 스트립-2 가스관에 대한 독일 및 EU 당국의 승인을 압박하기 위해 고의로 가스 공급을 제한했다는 지적도 잇따른다.

러시아는 이번 에너지 위기에 대해 유럽연합(EU)가 자초한 일이라며 러시아의 책임을 부인했다. EU가 장기 계약이 아닌 시장 시스템으로 이전했기 때문이며, 가스를 구매하는 독일과 프랑스 등이 구매 신청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바이든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바이든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에는 과징금

미국에는 미국 기업 구글과 메타 플램폼스(옛 페이스북)에 거액의 과징금을 잇따라 부과하면서 압박에 나섰다. 

러시아 통신 당국은 올해 초부터 구글에 금지 콘텐츠 삭제를 16차례나 지시했으나 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것을 이유로 과징금 72억 루블(약 1천164억)을 부과했다고 밝혔다.

같은 날 메타 플랫폼스에도 같은 이유로 매출 연계 과징금 19억 9천만 루블(약 322억)을 부과했다. 

미국은 러시아의 계속되는 압박에 지난 21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시 스마트폰, 주요 항공기·자동차 부품 등에 대한 강력한 수출 통제 조치를 예고했다.

지난 7일에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결제 시스템 접근 차단 등을 포함한 강력한 경제적 조치에 나설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군사훈련 중인 민방위, 사진=AFP/연합뉴스]
[군사훈련 중인 민방위, 사진=AFP/연합뉴스]

우크라이나 현 상황은

우크라이나에서는 시민들이 직접 정부 지원 '민방위 전투 훈련'에 참여하고 있다. 이른바 '국토방위대'는 일부 훈련 프로그램을 제외한 상당수는 민간단체가 운영하고 있으며, 참여 대원들이 비용을 부담한다.

민방위 대원 육성에 대해 혼란을 야기해 러시아의 침공 방해 요소로 작용될 수 있으나, 자국 내 서로 다른 정치적 이념으로 인해 내전이 발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도 잇따르고 있다.


한편, 오는 1월 중으로 미국, 나토와 러시의 협상이 예상되는 가운데, 지난 26일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국경 인근에서 1만 명 이상의 군사를 철수했다. 군사전문가들은 그동안 배치한 병력이 10만 명이 넘는다는 점을 강조하며, 아직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저작권자 © 월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