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코로나19 치료제 대체제로 '바리시티닙'과 '소트로비맙' 이용 가능
WHO, 제조업체들과 생산 관련 논의 중

[월드투데이 김나혜 기자] WHO(세계보건기구)가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새로운 약물 두 가지의 사용을 권고해 치료의 선택지가 늘어날 전망이다.
WHO has recommended two new drugs for COVID-19, providing yet more options for treating the disease.

WHO, 바리시티닙과 소트로비맙 사용 권고

[사진=AP/연합뉴스]
[사진=AP/연합뉴스]

WHO가 권고한 첫 번째 약물은 '바리시티닙(baricitinib)'이다. 이 약물은 코로나19 위중증 환자들에게 강력 권고된다. 면역체계의 과도한 자극을 억제하는 '야누스 인산화효소(Janus kinase, JAK)' 억제제라 불리는 약물의 한 종류이다. WHO는 바리시티닙을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와 함께 투여할 것을 권고한다.
The first drug, baricitinib, is strongly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severe or critical COVID-19. It is part of a class of drugs called Janus kinase (JAK) inhibitors that suppress the overstimulation of the immune system. WHO recommends that it is given with corticosteroids.

바리시티닙은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에 사용되기도 하는 경구용 약물이다. 이 약물은 WHO가 지난해 7월 권고한 '인터류킨-6 수용체 차단제(Interleukin-6 receptor blockers)'의 대체제로 이용될 수 있다.
Baricitinib is an oral drug, used in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It provides an alternative to other arthritis drugs called Interleukin-6 receptor blockers, recommended by WHO in July 2021.

두 번째 약물은 조건부 권고된 단일 클론 항체 치료제 '소트로비맙(sotrovimab)'이다. 소트로비맙은 입원 위험이 높은 경증 코로나19 환자들에게 사용된다. 여기에는 나이가 많거나, 면역이 손상되었거나, 당뇨와 고혈압 등 기저질환이 있거나,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환자들이 포함된다.
The second drug is conditionally recommended sotrovimab, a monoclonal antibody drug. It is used for treating mild or moderate COVID-19 in patients who are at high risk of hospitalization. This includes patients who are older, immunocompromised, having underlying conditions like diabetes, hypertension, and obesity, and those unvaccinated.

소트로비맙은 지난해 9월 WHO가 권고한 단일 클론 항체 치료제 '카시리비맙-임데비맙(casirivimab-imdevimab)'의 대체제다. 오미크론 변이에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진행 중이지만, 앞선 연구들은 소트로비맙이 활동을 유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Sotrovimab is an alternative to casirivimab-imdevimab, a monoclonal antibody cocktail recommended by WHO in September 2021. Studies are ongoing on the effectiveness of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Omicron but early laboratory studies show that sotrovimab retains its activity.

일부 약물들은 조건부 사용 권고...생산 관련 논의 진행

[사진=AP/연합뉴스]
[사진=AP/연합뉴스]

가이드라인을 정하는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위중증 환자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록소리티닙(ruxolitinib)'과 '토파시티닙(tofacitinib)'도 살펴보았다. 이 약물들은 효과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WHO는 조건부 사용 권고를 내렸다.
The panel of experts developing the guidelines also looked at two other drugs for severe and critical COVID-19: ruxolitinib and tofacitinib. Given their uncertain effects, WHO made a conditional recommendation against their use.

WHO의 코로나19 및 치료제 가이드라인에 대한 8번째 수정에 해당하는 이번 권고는 4000명 이상의 경증, 위중증 환자들이 참여한 7회의 실험에서 얻은 증거를 기반으로 한다.
The recommendations, forming the eighth update of WHO’s living guidelines on therapeutics and COVID-19, are based on evidence from seven trials involving over 4,000 patients with non-severe, severe, and critical COVID-19.

WHO는 현재 새로이 권고된 약물들의 글로벌 공급 능력 및 공평하고 지속 가능한 접근을 확보하기 위해 제조업체들과 논의 중이다. 또한, 바리시티닙과 소트로비맙은 품질과 효능, 안전성을 평가해 저소득 국가의 접근성을 높이는 WHO 품질인증 대상에 추천됐다.
WHO is in discussions with manufacturers to secure global supply capacity and equitable and sustainable access to the newly recommended therapeutics. The two newly recommended drugs - baricitinib and sotrovimab - have been invited for WHO Prequalification, which assesses the quality, efficacy and safety of priority health products to increase access in lower income countries.

저작권자 © 월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