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무장 민간인에게 계속되는 총격...현장 발포권 부여됐나?
미얀마 부모들, 보복 두려워 반 군부 자녀들과 의절
[월드투데이 박소은 기자] 미얀마 군부가 비무장 민간인에게까지 총격을 가하면서, 반 군부 활동을 하는 자녀의 부모들이 잇따라 자식과의 연을 끊고 있다.
![[사진=연합뉴스/AP]](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202/407604_215880_4417.jpg)
지난해 2월 1일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2020년 11월 총선이 부정선거였다고 주장하며 군부를 동원해 무력으로 정권을 장악했다. 이어 같은 달 비폭력 민주화 운동을 하던 시민이 총에 맞아 사망한 이후로 희생자가 끝없이 발생하고 있다.
인권단체 정치범지원협회(AAPP)는 군부에 의해 숨진 이가 1천500명에 육박하며, 체포 및 구금된 이는 1만 1천500명을 넘어섰다고 전했다. 최근에는 미얀마군이 최대 도시 양곤 안팎에서 비무장 민간인을 사살하는 사건도 계속되고 있다.
11일 미얀마 현지 언론에 따르면 지난 9일 오전 길을 지나가던 20대 남성이 신호 대기 중이던 군 차량을 향해 손을 들고 말을 하는 순간 가해진 총격에 맞아 사망했다. 가족들은 아직 그의 시신을 넘겨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선 5일에는 한 청년이 군인들에 의해 휴대전화를 검문당하다 SNS에 국민통합정부(NUG) 페이지 검색 기록이 발견돼 현장에서 총살당했다.
![[사진=연합뉴스/AP]](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202/407604_215881_4448.jpg)
지난 6일 낮에도 양곤 시내에서 미얀마군의 총기 난사 사건이 일어났다. 레단 오거리 위 고가도로에서 청년 네 명은 '군부독재 반대'라고 쓰인 현수막을 걸고 있다가 미얀마군의 총격에 중상을 입고 체포됐다.
전투지역이 아닌 곳에서 이어지는 군인들의 총격에 군부가 일반 병사들에게도 발포권을 부여한 것 같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이에 시민들은 전투지역이 아닌 곳에서 이어지는 군인들의 총격에 군부가 일반 병사들에게도 발포권을 부여한 것 같다는 반응을 보인다. 한 시민은 "무장 저항 세력을 잡는다는 명목으로 무고한 시민들을 가리지 않고 사살하려 하고 있다"며 한탄했다.
반 군부 세력이 사살당하는 미얀마에서는 군부의 보복이 두려운 부모들이 군정에 대항하는 활동을 하는 자녀와의 의절 선언을 하고 있다.
최근 3개월간 미얀마의 관영 신문들에는 하루 평균 6~7가족이 반정부 활동을 하는 자녀나 손주 등의 가족과 연을 끊겠다고 게재하고 있다. 지난 7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통신이 확인한 의절 선언문만 570개에 달한다.
의절 선언은 지난해 11월 군부가 시위대에게 피난처를 제공하는 이들을 체포하고, 실제로 수십 가구를 기습하며 시작됐다. 현재 군정은 반 군부 시위나 민주진영의 국민통합정부와 연계해 군부에 맞서는 활동을 '테러 행위'라며 범죄로 규정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AFP]](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202/407604_215882_4513.jpg)
한편, 1년이 넘도록 군부의 독재에 있는 미얀마는 '2021 민주주의 지수'에서 점수가 급락하며 1.02점을 받았다. 이는 최하위를 놓치지 않던 북한보다도 못한 지수이다.
같은 군 독재 시절을 겪은 만큼 남의 이야기처럼 들리지 않는 미얀마의 실정이 하루빨리 나아지길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