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대통령 "7일 회담 앞두고 각종 대러시아 제재 검토"
오는 9일 '중·러 제외'된 민주주의 정상회의 개최
미국의 압박 속 인도-러시아 협력 강화

[월드투데이 김현정 기자] 중국, 러시아와 미국 사이의 갈등구도가 심화되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러시아에 대한 각종 제재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중국에 대한 견제도 강화하며 두 국가를 압박하고 있다. 

[사진=바이든대통령(좌측)과 푸틴 대통령, AFP/연합뉴스]
[사진=바이든대통령(좌측)과 푸틴 대통령, AFP/연합뉴스]

■ 바이든 대통령, 회담 앞두고 '대러시아 제재' 검토 중

미 언론에 의하면 바이든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7일(현지시간) 회담을 앞두고 국제결제망 차단 등 각종 대러시아 제재를 검토하고 있다.

CNN, 뉴욕타임스(NYT) 등은 미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막기 위해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의 글로벌 결제 시스템 접근 차단을 비롯한 다방면의 제재를 살펴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한 검토 대상에는 푸틴 대통령의 측근 그룹과 러시아의 에너지 기업을 겨냥한 제재도 포함돼 있다고 덧붙였다.

이란과 북한도 받고 있는 'SWIFT 접근 차단'은 공식적인 국제 금융거래에 퇴출하는 초강력 경제제재다. 앞서 유럽의회는 지난 4월 러시아가 우크라를 침공할 경우 SWIFT에서 차단하는 결의안을 승인한 바 있다. 

로이터 통신은 이날 미 고위 당국자도 브리핑을 통해 바이든 대통령이 러시아가 우크라 침공을 시도할 경우 심각한 경제적 대가가 따를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전했다.  

[사진=미국 성조기와 중국 오성홍기, AP/연합뉴스]
[사진=미국 성조기와 중국 오성홍기, AP/연합뉴스]

■ 미국, 중·러 견제한 민주주의 정상회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오는 9일 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한 민주주의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그리고 이틀간 진행되는 민주주의 정상회의에서 중국과 러시아를 압박하려는 행보를 예상된다.

이 회의는 바이든 대통령의 대선 공약으로서,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전 세계 동맹과 파트너를 규합해 권위주의 정권에 맞서고 인권의 가치를 확산하겠다는 취지로 추진돼 왔다.

미중 갈등 격화 속에 이번 회의에는 한국을 비롯해 110개 국가가 화상으로 참석할 예정이다. 러시아와 중국은 초청 대상에서 제외됐고, 미중 갈등의 핵심인 대만은 초청됐다.   

한편 중국은 이번 정상회의가 중국에 대한 내정 간섭이라고 강력히 비난하며 반발하고 있다. 

[사진=푸틴 대통령(좌측)과 모디 총리, 뉴델리 리아노보스티/연합뉴스]
[사진=푸틴 대통령(좌측)과 모디 총리, 뉴델리 리아노보스티/연합뉴스]

■ 미국 압박 속, 인도-러시아 협력 강화

러시아에 대한 미국의 압박이 심화되는 가운데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푸틴 대통령이 지난 6일(현지시간) 정상회담을 통해 국방, 무역, 에너지 등 여러 방면에서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외신은 전했다.

인도는 러시아제 무기의 최대 수입국일 정도로 양국 관계는 전통적으로 돈독한 편이다. 하지만 인도는 최근 중국 영향력 견제를 위해 미국과 여러 방면에서 교류를 확대하고 있다. 이에 미국과 갈등 중인 러시아가 상당히 우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인도가 러시아제 미사일을 도입하면 미군과 인도군 사이의 무기 체계 운용 협력을 저해할 수 있다며 계약을 취소할 것을 종용하고 있다. 이런 미국의 압박에 대해 러시아는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시했다.

저작권자 © 월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