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인 상대 보복성 대량 학살
미얀마군-소수민족 반군 충돌
'MY WAY' 노선 유지하는 훈센 총리

[월드투데이 김수민 기자] 미얀마 쿠데타 군사정권의 민간인 상대의 보복과의 충돌이 계속되고 있다.

[군사 쿠데타 반대 집회 시위대 진압 가운데 경찰에 체포된 주민, 사진=AFP/연합뉴스]
[군사 쿠데타 반대 집회 시위대 진압 가운데 경찰에 체포된 주민, 사진=AFP/연합뉴스]

민간인 상대 보복성 대량 학살

지난 20일 미얀마 쿠데타 군사정권이 반군부 세력 저항에 대한 보복으로 민간인 40명가량을 학살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7월 미얀마 중부 반군부 세력 근거지인 카니구에서 4차례에 걸쳐 이뤄졌다. 가장 큰 규모의 학살이 벌어진 곳은 인(Yin) 마을이다. 

목격자 및 생존자 증언에 따르면 17~18세 어린 나이의 군인들이 최소 14명의 남성들을 줄로 묶어 고문하고 구타한 뒤 살해했다. 시신들은 숲이 우거진 계곡에 버려진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7월 말 인근 마을에서는 12구의 훼손된 시신이 발견되기도 했다. 시신들 가운데는 어린이로 추정되는 작은 시신과 장애인의 시신도 포함된 것으로 밝혀졌다.

BBC는 집단 학살이 자행된 배경으로 민병대에 대한 미얀마군의 보복을 주목했다. 미얀마군과 민병대 간 충돌 후 집단 처벌이 벌어졌던 것과 같은 패턴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지역에서 몇 달 전부터 민주주의 복원을 요구하는 민간 무장세력 시민 방위군(PDF)와 군부 간 잦은 충돌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태국으로 몸을 피한 피난민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태국으로 몸을 피한 피난민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또다시 충돌하는 미얀마군과 반군

지난 15일에는 소수민족 반군 관할 지역인 레이 께이 꺼 신도시에서 미얀마군과 반군이 충돌했다. 이날 오전 미얀마군이 20여 발 가량의 포탄을 퍼부었다. 도시 내 최소 3곳에서 반군이 응전하며 충돌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 미얀마군 200여 명이 대대적인 반군부 인사 검거 작전을 펼치자 이에 대해 반군이 반발하면서 충돌이 발발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교전이 지속되면서 주민 2천500여 명이 국경을 넘어 태국으로 피신했다. 피난민 가운데 어린이 545명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0일 태국 측은 재산 피해를 우려한 난민들의 요구로 623명을 미얀마로 돌려보냈다고 밝혔다. 국제 인권단체들은 미얀마군이 민간인을 목표물로 삼고 있다며 난민들의 안전을 이유로 송환에 반대하고 있다. 

[훈센 총리, 사진=AFP/연합뉴스]
[훈센 총리, 사진=AFP/연합뉴스]

내 갈 길 간다, 훈센 캄보디아 총리

민간인 상대의 보복과 반군과의 충돌이 계속되는 가운데 내년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의장국 캄보디아가 지난 15일 미얀마 특사로 내정될 예정이라고 주요 외신이 전했다.

'친 중국' 성향의 캄보디아의 훈센 총리가 최근 미얀마 군정 지지 의사를 밝히면서, 그의 행보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그는 16일 호텔 개장식에 참석해 "9개 회원국만으로 우리 스스로를 아세안이라 부를 수 없다. 9개에서 완전한 10개 회원국 상태로 만들어 아세안을 구해야 한다"라며 다시 한번 강조했다.

올해 의장국인 브루나이가 군정의 합의사항 불이행을 이유로 10월 아세안 정상 회의와 11월 중-아세안 정상 회의에 잇따라 미얀마 홀라잉 최고사령관을 배제해 온 것과 상반된 모습이다. 

국제 사회는 홀라잉 최고사령관의 초대로 내달 7~8일 미얀마를 방문할 예정인 훈센 총리를 두고 미얀마 군정을 인정하는 메시지를 줄 수 있다며 비판하고 있다. 지난 15일 말레이시아를 방문한 미국 블링컨 장관은 아세안과의 특별 정상 회의 계획을 공개하며 미얀마 군부에 대한 추가 제재 카드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보였다.


[아웅산 수치 고문, 사진=AP통신/연합뉴스]
[아웅산 수치 고문, 사진=AP통신/연합뉴스]

한편 지난 20일 열릴 예정이던 아웅산 수치 고문의 '무전기 및 방해전파 발신기 불법 소지 혐의'에 대한 선고가 오는 27일로 연기됐다. 연기 이유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 없다.

2개 혐의가 모두 유죄로 인정될 경우, 최대 4년의 징역형이 선고될 수 있다. 앞선 6일 수치 고문은 '선동 및 코로나19 방역 조치 위반' 혐의로 징역 4년을 선고받았다가 사면 차원으로 2년 감형 받은 바 있다. 

저작권자 © 월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