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백신갈등 , 국가와 국민의 입장 엇갈려
백신관련 부작용 심각
![[사진=코로나 검사장, 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201/407251_214728_343.jpg)
[월드투데이 김지현 기자] 유럽의 여러 국가가 백신접종 의무화를 도입하려는 상황이다. 이에 국민들은 백신이 강제접종을 할 만큼의 신뢰성을 가지지 못한다며 반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오미크론 변이가 최근 전세계를 강타함에 따라 각국이 백신 접종을 확대하는 추세다. 유럽도 마찬가지다.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한 기자회견에서 대놓고 "백신 미접종자들을 성가시게 만들겠다"고 하며 미접종자의 접종 유도에 대한 의지를 보여줬다.
실제로 오스트리아는 내달부터 18세 이상 모든 성인에 대해 코로나 19 백신접종을 의무화한다. 프랑스의 경우 16세 이상 미접종자에 대해 장거리 대중교통 이용을 제한하는 등 유럽 국가에서 백신 접종을 강요하는 모습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CNN은 16일(현지시간) '우리는 현재 두 계층의 사회에 살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유럽에서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소수 집단이 배제되고 있다고 폭로했다.
![[사진=백신 접종, 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201/407251_214727_5326.jpg)
이에 유럽은 새로운 사회적 국면을 맞이했다. 백신 접종을 의무화하는 국가와 백신 접종을 원치 않는 국민들의 싸움이다. 이는 다윗과 골리앗을 연상케 할 정도다. 실제로 백신패스가 심화됨에 따라 미접종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스위스의 미접종자 니컬라스 리몰디는 최근 백신 미접종을 이유로 슈퍼마켓 점원 일을 그만두어야 했다. 이로 인해 식당에서 밥을 먹을 수도 없는, 그야말로 정부에 의해 의식주를 위협받는 상황에 처했다.
이에 그는 백신패스 반대 그룹을 결성하여 같은 뜻을 지닌 청년들을 동참시켰다. 이 그룹은 자신들의 의견에 동의하는 주인의 식당을 단체로 찾아가거나 극장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에 몰려가는 행동을 통해 그들의 의지를 보여줬다. 그는 "불법인 건 안다"면서도 "우리 관점에서는 백신 증명서가 불법"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스위스 정부의 백신패스 관련 법과 관련해 작년 11월 말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38%나 해당하는 국민이 도입을 반대했다. 백신패스에 대한 반대 목소리가 소수의견이 아님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들은 백신패스가 개인의 선택에 의한 접종이 아닌 강제접종을 조장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백신패스가 단순 여행제한이나 운동시설 등의 편의만을 제한하는 게 아니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등교나 직장 생활, 그리고 식당의 백신패스는 정부의 백신 홍보와 다를 바 없으며, 이는 곧 개인의 신체에 대한 의료 행위 강요로밖에 볼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아직 백신을 믿을 수 없다는 게 그들의 입장이다. 제약회사가 각국 정부와 맺은 백신공급 계약서를 비공개 처리한 사실과 백신 부작용에 대해 제조사가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는다는 점은 백신을 신뢰할 수 없게 만든다고 밝혔다.

유럽 내 백신 부작용 사례도 증가하는 추세다.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는 백신의 부작용으로 희귀 척수 염증질환인 횡단성 척수염(transverse myelitis)을 추가등록했다. 하지만 유럽의약품청은 백신 접종 후 발생한 횡단성 척수염의 구체적 사례건수를 비공개처리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뿐만이 아니다. 모더나는 유럽 내 일부 국가에서 심근염, 심낭염등을 발생시킬 확률이 높다는 이유로 30세 미만의 접종 대상에게 금지당했다.
국가에서 인정한 부작용만으로도 심각하지만, 문제는 백신접종의 다양한 부작용 중 국가에서 인정한 사례 외에는 인과성 판단이 어려워 보상을 받기 힘들다는 점이다. 국가의 선택적 책임 태도는 백신의 형평성 논란을 일으켰다.
![[사진=백신 맞는 어린이, 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201/407251_214772_3539.jpg)
그럼에도 국민투표에서 스위스의 백신패스 법안이 통과되었다. 이렇듯 백신 증명서의 합법에 대한 의견은 국민들 사이에서도 갈리고 있다.
찬성하는 이들은 백신패스는 정부가 현재 코로나 19확산에 대응할 수 있는 최선의 조치라는 입장이다. 백신패스 반대 시위가 벌어지고 있는 프랑스, 스위스, 오스트리아의 국민투표 결과 백신 의무화 찬성 비중이 반대 비중보다 크게 차지했다.
스위스의 대학교수 수잰 석스는 "사람들은 자유에 대해 매우 왜곡된 해석을 하고 있다"며 "다른 사람을 해치는 것이 개인의 권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