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태 합병증 문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서 더욱 심각
문제 해결 위해 고품질 치료 제공할 필요 있어
[월드투데이 김나혜 기자] WHO(세계보건기구)가 새로운 연구를 발표해 낙태 합병증으로 인한 여성 건강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has published a new study to explore women's health problems caused by abortion complications and suggest solutions.
![[사진=AP/ 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201/407418_215189_1241.jpg)
너무 많은 여성이 위험한 낙태로 인해 죽거나 단기, 장기적인 부정적 결과를 마주하게 되지만, 어떻게 의료인들과 보건 체계가 낙태 합병증과 관련해 여성들에게 질 높은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다.
Too many girls and women continue to die and to face both the short and long-term negative consequences of unsafe abortion – yet information is lacking on how health care providers and systems can best provide quality care for girls and women with abortion-related complications.
이러한 연구의 간극을 인지한 HRP(Human Reproduction Programme)와 WHO 등은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카리브해 연안 지역의 17개국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이 연구는 공급, 경험과 치료의 질에 대한 근거를 수집하기 위함이다.
In recognition of this research gap, HRP, WHO and partners have conducted a research study across 17 countries in the African,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regions, to gather evidence on the provision, experience and quality of care.
낙태 관련 합병증을 겪는 여성의 임상 관리와 관련하여 무엇이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은 그들의 건강과 안녕을 보장하기 위해 중요하다. WHO의 보고서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여성들이 경험한 치료의 질뿐만 아니라 치료의 임상적 제공에 대한 의미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 보고서는 또한 안전하지 못한 환경에서의 치료를 경험한 청소년기 여성도 탐구한다.
Improving understanding on what works in relation to the clinical management and care of girls and women who face abortion-related complications, is crucial for ensuring their health and well-being. These newly published papers give a significant insight into both the clinical provision of care, as well as the quality of care as experienced by women in the sub-Saharan African region. They also explore the experiences of adolescents as well as women accessing care in insecure environments.
보고서는 낙태 관련 합병증으로 보건 시설을 다니는 2만 3천 명 이상 여성의 데이터를 수집했다. 이러한 여성의 대부분이 약한 정도의 합병증을 겪고 있었던 반면, 특히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여전히 심각하거나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가진 사람들도 많았다.
Data analyzed in the paper were collected on over 23,000 women attending health facilities with abortion-related complications. While most of these women had mild or moderate abortion-related complications, there were still many who had severe or potentially life-threatening complications, particularly in sub-Saharan Africa.
![[사진=Pixabay]](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201/407418_215186_116.jpg)
낙태와 낙태 이후 관리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에는 합법적 환경하의 지원 의료 시스템뿐 아니라 임상 치료, 자기 치료, 치료의 공급을 위한 업무 분담도 포함된다. 이것은 낙태 관리를 보장하는 데 매우 중요한데, 이는 건강과 신체적 자율성에 대한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핵심적인 저렴하고 수용 가능한 피임 선택지의 범위를 통합한다.
A comprehensive approach to abortion and post-abortion care, includes clinical-care, self-care, task-sharing for the provision of care, as well as a supportive health system within an enabling legal environment. This is critical for ensuring high quality abortion care, which incorporates access to a range of affordable and acceptable contraception options - key for safeguarding human rights to health and to bodily autonomy.
보고서의 증보판은 국가들이 의료인과 보건 시스템이 여성에게 질 높은 치료를 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빠르게 움직여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보고서에서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정책 결정자들이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조치들을 강조한다.
The papers in the supplement show however, that countries need to move fast to ensure healthcare providers and systems can give such quality care for girls and women. The editorial highlights following important actions that decision-makers in the sub-Saharan Africa region can take to make a difference.
먼저, 모든 수준의 의료 서비스에서의 고품질 낙태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킨다. 둘째로, 낙태 후 관리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접근법이 증거에 기반하고 몇 가지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여기에는 의료 서비스 제공자가 권장된 관행을 따르고, 장비와 공급품의 가용성을 검사하며, 건강 합병증이나 부정적 결과의 원인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위기일발 사례 검토와 같은 임상 감사를 수행하는 것 등이 있다. 셋째로, 의료인들이 가진 유해한 믿음을 다루고, 건강 시스템의 제약을 확인해 처리하고, 여성의 권리를 보장하는 등 건강 시스템을 넘어서는 방안을 찾아내고 사용해야 한다.
First, they should increase access to high-quality abortion services at all levels of healthcare. Second, they should ensure approaches to improve quality of post-abortion care are based on evidence – and to perhaps include supervision to ensure that: healthcare providers use recommended practices; to audit availability of equipment and supplies; and to conduct clinical audits such as near-miss case reviews to better understand the reasons behind health complications or negative outcomes. Third, they should identify and use interventions which go beyond the health system – including addressing harmful beliefs held by healthcare providers; recognizing and addressing constraints of health systems; and ensuring girls and women are empower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