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 효능 입증은 아직, 일단 승인부터 받고 보자?...안전성 확보 아직
비베크 머시 미 공중보건서비스단장, 부모들 반발에 진압 나서...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월드투데이 박한나 기자] 어린이 대상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의 등장으로 미국서 설전이 벌어지고 있다. 

현지시간 3일 CNN 방송은 6개월∼5세 미만 어린이용 코로나19 백신이 성인이나 청소년용 백신과는 다른 승인 절차를 밟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위 연령대용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화이자·바이오엔테크는 미국에서 6개월∼5세 미만 어린이를 상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승인해달라고 요청한 것이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그러나 이 백신에 대한 효능을 두고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화이자는 당초 지난해 12월 6개월∼5세 미만 연령대에 대해서는 3회 접종을 정규 접종법으로 해 승인을 신청하겠다고 밝힌 바 있었으며 지난 1일부터 미 식품의약국(FDA)에 영유아용 백신의 긴급 사용 승인(EUA)을 위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제출하기 시작했다.

영유아용 백신의 용량은 성인용 용량 30㎍(마이크로그램)의 10분의 1인 3㎍이다. 이에 2∼4세 어린이를 상대로 한 임상시험에서 2차례 접종한 결과 10㎍을 맞힌 5∼11세 어린이와 같은 수준의 강한 면역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앞선 실험 대상자보다 어린 연령의 6∼24개월 어린이에게서는 성인과 비슷한 수준의 '유증상 감염이 90% 감소하는 효과'를 확인했다.

그러나 화이자는 이번에 2회 접종에 대해서 긴급 사용 승인을 신청했다. 

문제가 제기되는 부분은 이 부분이다. 우선 2회 접종에 대해 먼저 승인을 받고 아직 임상시험이 진행 중인 3회 접종은 추후에 추가로 승인을 신청한다는 것이 화이자의 계획이다. 

이러한 화이자의 행보는 일단 개발은 했으니 던지고 보자는 '곁다리식' 변칙성 절차인 셈이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현재 보건 당국은 오미크론 변이가 변수가 됐다고 설명한다.

비베크 머시 미 공중보건서비스단(PHSCC) 단장 겸 의무 총감은 지난 2일 "그것(오미크론) 때문에 12월에 확보되지 않았던 더 중요한 추가 임상 데이터를 수집하게 됐다"며 "그 데이터가 (백신의) 위험-이익 프로필을 바꾸게 할지는 FDA가 평가할 일이지만 데이터 측면에서 12월 이후 진전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백신 자체에 대한 안전성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FDA가 백신 접종을 빨리 시작하려고 3회 접종에 대한 임상 데이터가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섣부르게 2회 접종을 먼저 승인하는 전략을 취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처럼 효능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자 머시 단장은 "(이번 승인 신청이)성인용 코로나19 백신 승인 때와 똑같은, 독립적이고 엄격하며 투명한 검토 절차를 거치게 될 것"이라며 부모들을 설득하고 나섰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비영리 연구소 카이저 가족재단(KFF)이 지난 1일 내놓은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6개월∼5세 미만용 백신이 나오면 곧장 이를 맞히겠다는 부모는 약 30%에 그쳤다. 반면 미국 소아과 학회(AAP)에 따르면 오미크론 확산기였던 1월 한 달에만 미국에서 어린이 확진자가 350만 명이 넘게 나오는 등 어린이 감염자 수가 치솟았다. 

뉴욕타임스는 관계자들을 인용해 "6개월∼5세 미만 연령대 어린이에 대한 백신 접종이 이달 중 시작되면 3회차 접종에 대한 임상시험 데이터가 나올 때쯤에는 이들 어린이가 3회차 접종을 할 시점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미국의 6개월∼5세 미만 어린이는 코로나19 백신 사각지대에 있다. 약 1천 900만 명으로 추산되는 이들이 충분한 안전성을 보장받는 백신으로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해지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월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