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대, 외식업계도 '언택트'
그에 따라 '밀키트' 인기 상승
[월드투데이 구현민 기자] 외식업계에도 '언택트' 바람이 불면서, 새로운 조리 방식 '밀키트'가 각광받고 있다.
최근 10년 간 온라인 내 소비가 증가하며 '언택트'(비대면, 비접촉)' 방식이 트렌드로 부상했다. 팬데믹 이후론 '언택트'에 대한 수요가 더 증가하여 여러 업계에서 기본이 되었다.
가장 빠르게 변하는 업계인 외식업에도 이는 마찬가지다. 특히 '입으로 즐기는' 외식업 특성 상 코로나19에 더욱 취약할 수 밖에 없어 많은 외식기업들이 언택트 트렌드를 빠르게 주도하고 있다. 오늘은 여러 외식업 '언택트' 트렌드 중, 많은 이들이 한 번쯤 들어본 '밀키트'에 대해 알아본다.
1. 밀키트란?
![[사진=픽사베이]](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110/405822_210404_816.jpg)
밀키트(Meal Kit)는 Meal(식사)와 Kit(키트, 세트)의 합성어로, 빠르고 간편한 식사를 위한 모음 패키지를 뜻한다. 이미 깔끔하게 손질된 재료와 양념이 포장되어 있어, 간단한 조리만 거치면 먹을 수 있다.
기존의 HMR(Home Meal Replacement, 가정간편식)과는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가장 큰 차이점은 내용물이다. 밀키트는 반가공 조리 상태로 비교적 신선재료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HMR은 냉동 완제품으로 구성된 인스턴트 제품들이 많다.
밀키트의 예시로, 젊은 이들이 집들이 파티할 때 많이 찾는 '밀푀유나베 밀키트'가 있다. HMR은 오뚜기의 '3분 시리즈'(3분 카레, 3분 짜장 등)가 유명하다.
2. 밀키트가 뜨는 이유
밀키트가 뜨는 이유는 위에서 언급했듯, '팬데믹'이 대표적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안전하게 집에서 식사하는 '홈쿡'(Home Cook) 문화가 자리잡고, 밀키트의 수요가 크게 늘었다. 이런 트렌드는 팬데믹 종식 후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딜로이트 글로벌이 18개국에서 약 4만 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팬데믹 이후에도 집밥을 즐길 것이라 답변했다.
'팬데믹' 이외의 이유론 요즘 확산되고 있는 '편리미엄' 문화가 있다. '편리미엄'은 '편리함'과 '프리미엄'이 합쳐진 말로, 소비자들이 시간과 노력을 아낄 수 있는 편리한 상품·서비스를 선호하는 현상을 말한다.
세대별로 보면 미래의 소비자로 여겨지는 MZ 세대(80년대 이후에 태어난 젊은 세대)들이 '편리미엄'을 특히 더 선호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미래의 먹거리를 찾는 많은 외식 기업들이 밀키트에 더 주목할 수 밖에 없다.
3. 대표적 기업
![[사진=픽사베이]](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110/405822_210406_97.jpg)
미국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밀키트 기업은 '헬로 프레쉬'(Hello Fresh)다. '헬로 프레쉬'는 밀키트를 주로 찾는 대학생들에게 밀키트 배송을 진행하고 했다. 미국 전국에서 '헬로 프레쉬'가 밀키트를 배송하는 대학은 무려 300 곳이 넘는다.
![[사진=픽사베이]](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110/405822_210407_925.jpg)
캐나다의 '굿푸드'(Good Food)도 북미권의 대표적인 밀키트 업체이다. 다문화 국가인 캐나다의 국민들을 위해 '굿푸드'는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엔 한식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한식 메뉴들도 점점 늘고 있다. 한식 중에선 고추장 돼지고기 불고기·소불고기가 인기 메뉴로 꼽힌다.
![[사진=픽사베이]](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110/405822_210408_952.jpg)
채식주의자를 위해 비건 레시피를 제공하는 '베가노'(Vegano)도 눈에 띈다. '베가노'는 지난 1월 캐나다 최초로 100% 식물성 밀키트를 출시했다. 출시 이후 많은 사랑을 받으며, 런칭 2개월 만에 420만 달러의 투자를 받기도 했다.
4. 향후 시장 전망
여러 국가들에서 밀키트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가장 크게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국가는 미국이다. IBIS World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 간 미국 밀키트 시장은 연평균 28.9% 성장한 것으로 밝혀졌다.
물론 밀키트 열풍은 북미권 넘어 전 세계적으로 뜨겁다. Heat&Eat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밀키트 세계 시장 규모는 83억 달러 규모로 추정된다. 또한 연평균 11.5% 성장을 하여 2027년엔 178억 달러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5. 기회와 위험 요소
밀키트는 외식업계에 새로운 수익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크게 꼽히는 것은 인건비 절약이다. 고객이 직접 개봉해서 간단한 조리를 하는 '셀프 서비스' 형식이기 때문에 서빙 직원이나 주방보조 직원 없이도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밀키트가 모든 면에서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단점으론 '환경오염'이 있다. 식재료를 포장해 운반해야 하기 때문에 가볍고 저렴한 인공 포장재의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주 소비자인 MZ세대가 '에코' 트렌드에 민감한 것을 볼 때, '환경오염' 이슈는 밀키트 업계가 해결해야 할 숙제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