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인권단체들의 강력한 반발과 검찰 조사 등 논란에 허가 후 취소
[월드투데이 박소은 기자] 브라질 정부가 아마존 원주민 보호구역의 금광 개발을 허가했다가 검찰 조사 등 논란에 부딪혀 취소했다.
![[사진=브라질 아마조나스주 라브레아에 있는 아마존 열대 우림의 삼림지대, AFP/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112/406901_213716_2516.jpg)
27일(현지시간) 브라질 매체들은 브라질 정부는 북부 아마조나스주 상 가브리에우 다 카쇼에이라 지역에서 추진되던 7개 금광 탐사·개발 계획을 이날 취소했다고 보도했다. 상 가브리에우 다 카쇼에이라 지역은 아마존 열대우림에서 가장 규모가 큰 원주민 보호구역으로, 23개 원주민 부족민이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마존 열대우림에 대한 규제 완화 움직임은 2017년부터 나타나기 시작했고, 2019년 보우소나루 정부가 출범한 이후 규제가 대폭 완화됐다. 금광 개발 계획에 대해 허가가 나온 것은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의 최측근 가운데 한 명인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했다.
그러나 열대우림 파괴와 함께 원주민들의 생존을 위협한다는 주장이 계속되고 검찰이 공식적으로 조사에 나서겠다고 밝히는 등 논란이 계속돼 결국 허가가 취소됐다.
브라질의 환경법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삼림과 원주민 보호지역에서 금광 개발을 원칙적으로 금지한다. 환경·인권단체들은 "환경 보호보다 경제적 개발이익을 앞세우는 보우소나루 정부 환경정책에 제동을 건 것"이라고 평가했다.
무차별적인 금광 개발 활동은 고의 방화, 무단 벌채와 함께 아마존 열대우림을 대규모로 파괴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한편, 브라질 정부는 지난 11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2028년까지 불법 산림 벌채를 단계적으로 중단시키겠다고 약속했다.
[출처=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