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레반, 경제난에 '매매혼' 성행...남아도 마찬가지
인도, 탈레반 파트너 인정 이후 백신 100만회분 지원 나서
![[사진=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201/406979_213968_043.jpg)
[월드투데이 박한나 기자] 탈레반 정부가 술 유통업자를 체포하며 술 유통 단속에 본격적 불씨를 지폈다.
AFP통신 등은 2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집권 세력인 이슬람 무장 조직 탈레반이 압수한 대량의 술을 수로에 쏟아 버렸다고 보도했다.
탈레반 정부 정보국(GDI)이 이날 공개한 영상에 따르면 탈레반 정보 요원들은 통에 담긴 술 약 3천L(리터)를 수로에 쏟았다. 현장 단속을 통해 압수된 술을 공개적으로 버린 당국은 정보국 트위터를 통해 영상과 함께 "무슬림은 술을 만들거나 전달하는 일을 진지하게 멀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201/406979_213969_322.jpg)
이번 단속을 통해 3명의 술 유통업자를 체포됐다. 하지만, 단속과 술 폐기가 언제 이뤄졌는지 등 구체적인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술 판매와 소비는 이전 정부 치하에서도 금지됐지만, 샤리아(이슬람 율법)에 더욱 엄격한 탈레반은 술 유통에 더욱 강경한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8월 재집권에 성공한 탈레반은 체제가 조금씩 정비되자 술 유통 단속도 더욱 강화하는 분위기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탈레반은 1차 통치기(1996∼2001년) 때 샤리아를 앞세워 엄격하게 사회를 통제했다. 당시 음악, TV 등 오락이 금지됐고 도둑의 손을 자르거나 불륜을 저지른 여성을 돌로 쳐 죽게 하는 등 공개 처형도 허용됐다. 여성에는 외출, 취업, 교육 등에 제한이 가해졌다.
당국은 재집권의 시작과 동시에 인권 존중에 대한 이전과 다른 모습을 보이겠다고 했지만, 여성과 언론에 대한 탄압을 계속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한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201/406979_213965_5346.jpg)
![[사진=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201/406979_213961_5345.jpg)
체제를 확립하려는 탈레반 정부와 반대로 경제가 붕괴된 아프간 현지의 신음을 계속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해 부모가 어린 딸을 돈 받고 결혼시키는 일명 '매매혼'이 성행하고 있다.
1일 톨로 뉴스, AP 통신에 따르면 탈레반이 작년 8월 15일 재집권한 뒤 아프간의 경제난이 심각해지면서 매매혼이 급증했고, 대다수 여성은 일자리에서 쫓겨나 집에만 머무르게 됐다고 전했다.
유니세프(유엔아동기금)는 지난 11월 성명에서 "지참금을 받고 생후 20일 된 여아까지 매매혼 대상으로 삼았다는 보고를 받았다. 극도로 끔찍한 경제난이 아프간 소녀들을 아주 어린 나이에 결혼하도록 내몰고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201/406979_213964_5346.jpg)
이처럼 여아 강제 결혼에 대한 비판이 일자, 탈레반 최고 지도자 아쿤드자다는 지난달 '여성은 소유물이 아니다'라는 입장과 함께 매매혼 등 강제 결혼 금지령을 발령했다. 하지만, 당장 굶어 죽을 상황에 처한 부모, 특히 아버지가 딸을 팔아넘기는 일들은 이어지고 있다
강제 결혼에는 남아도 예외없다. 가난한 가족은 주로 딸을 결혼시켜 돈을 마련하지만, 아들을 내다 파는 경우도 있다. 현재 아프간 어린이들은 매매혼뿐만 아니라 영양실조, 홍역, 소아마비 등 각종 질병에 고통받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201/406979_213966_5346.jpg)
한편, 인도가 경제난과 기근에 시달리는 아프가니스탄에 코로나19 백신 100만 회분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인도 외교부는 지난 1일, 코백신 50만 회분을 오늘 아프간 카불의 인디라 간디 병원에 전달했다며 몇 주 이내에 50만 회분을 더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코백신은 인도 업체 바라트 바이오테크가 만든 코로나19 백신이다.
인도는 세계 백신의 60%를 생산하는 의약품 강국임에도 업체의 생산 부진과 백신 조달 정책 실패로 한동안 수출을 중단했다가 지난해 말부터 재개한 상태다.
인도는 20년 넘게 탈레반을 극단주의 조직으로 대면해오다, 최근 태도를 바꿨다. 탈레반을 새로운 외교적 파트너로 받아들이기 시작한 인도는 지난해 8월 말에는 카타르 도하에서 탈레반과 처음으로 공식 외교 접촉을 벌이기도 했다.
아프간은 탈레반 재집권 후 만성적인 외화 부족이 심화한 가운데 가뭄, 실업까지 겹치면서 심각한 경제난을 겪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201/406979_213967_5346.jpg)
지난 2일 기준,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이날 아프간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15만 8천 107명이며 사망자 수는 7천356명이다. 그러나 의료 시스템 붕괴로 코로나19 검사와 치료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점을 고려했을 때, 실제 감염자 및 사망자 수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프간뿐만 아니라, 세계는 코로나19 이외에는 수많은 이념들의 대립으로 아픔을 겪고 있다. 부디 2022에는 코로나19의 종식뿐만아니라 각자의 이념을 넘어선 인권이 존중되는 세계의 오늘을 기대해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