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정상, '한반도 비핵화' 논의한다
트럼프 행정부와 다른 스탠스 강조한 미국
북·중·러 공조 끊기 위한 포석 쌓나
[월드투데이 한진리 기자] 한·미·일 정상들이 오는 12일 한자리에 모여 한반도의 비핵화를 논의한다.
![[사진=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AP/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202/407552_215677_3048.jpg)
한미일 정상, 오는 12일 하와이서 만난다
지난 6일(현지시간)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은 오는 12일 하와이에서 한국과 미국, 일본 정상들과 3자 회담을 가진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정의용 외교장관,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일본 외무상이 참석하고 노규덕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성 김 대표, 후나코시 다케히로(船越健裕)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도 수석대표로 배석한다.
주요 의제는 ▲한반도의 완전화 비핵화 ▲한미일 3국 협력의 중요성 ▲납치 문제의 해결 등으로 외교안보와 관련된 광범위한 이슈를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장관 회의에 앞서 3국 수석대표는 오는 10일 하와이 호놀루루에서 북한 대응 관련 논의를 가진 뒤 12일 외교장관 회담에 배석할 예정이다.
![[사진=지난달 25일 북한 순항미사일이 이동식 발사대(TEL)에서 화염을 내뿜으며 발사되고 있다. 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202/407552_215670_3838.jpg)
바이든 행정부 "외교적 타협 최우선"
조 바이든 행정부는 회담에서 트럼프 전 행정부와 다른 스탠스를 취할 것으로 예상된다.
7일(현지시간)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언론 브리핑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한국, 일본과 긴밀히 조율해야 한다"고 밝혔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외교적 타협을 통한 '3자 조율'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그는 최근 잇따른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주요 이슈로 논의 될 것이라며 "3자 조율이 정말 중요하고 필수적이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은 북한에 적대적 의도가 없음을 강조하며 "대화와 외교를 통해서만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사진=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로이터]](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202/407552_215685_1225.jpg)
그러면서 "바이든 행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와 접근법이 다르다"라며 외교적 수단을 통한 접근만이 유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강력한 비방을 서슴지 않았으며 '핵 버튼' 도발을 통해 첨예하게 대립했다. 동시에 대화의 기조를 열어두고 서한을 주고 받는 등 당근과 채찍을 번갈아활용하며 북한을 대화 테이블에 앉힌 바 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아직 북한이 대화에 나서겠다는 의사를 전달하지 않았다며 한미일 협력은 물론 전 세계 동맹과의 지속적 조율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신화통신/AP/연합뉴스]](https://cdn.iworldtoday.com/news/photo/202202/407552_215684_219.jpg)
북·중·러 공조 무너뜨릴 수 있을까
미국이 3국 정상회담의 최우선 과제로 '한반도 비핵화'를 선정한 데는 북중러 공조 해체를 위한 포석 쌓기란 분석이 나온다.
북한은 올해 7차례 미사일 시험발사를 강행하며 한반도의 긴장감을 끌어올렸다. 여기에 2018년 4월 '모라토리엄(유예·Moratorium)' 선언 이후 중단했던 핵 실험 및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가능성도 언급하며 위기감을 고조시켰다.
전문가들은 미러 갈등이 첨예해질수록 북한의 전략적 가치가 높아지는 것에 주목했다.
임을출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2017년에는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반대한다는 분명한 입장을 냈었지만, 지금은 미중 갈등, 미러 갈등으로 상황이 달라졌다"라며 당분간 북중러 협력은 더욱 강화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앞서 미국 소집으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이하 유엔 안보리)에서 북한을 제재 대상에 포함시키자는 제안이 나왔으나 중국과 러시아의 보류 요청으로 무산된 바 있다.
이에 따라 한미일 고위당국자들은 정상 회담을 통해 대북 공조를 강화하고 북한과 중국, 러시아 3국의 공조 체계를 끊기 위한 제재안 설계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