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르 정부 관리 "월드컵과 관련 없다"
중동 외국인 노동자 인권운동 단체 "비인간적 행위"

[월드투데이 박무빈 기자] 카타르 정부의 외국인 노동자 인권침해 문제가 다시 도마위에 올랐다.
카타르 정부가 월드컵 개막을 20여 일 앞두고 수도 도하의 월드컵 관광객 숙박 지역 인근 아파트에 머물고 있던 외국인 노동자 수천 명을 사전 통보 없이 강제 퇴거시키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강제 퇴거당한 노동자들은 카타르 당국이 갑자기 자신들이 거주하던 아파트 10여 동을 비우게 하고 폐쇄했다고 로이터에 전했다.
대부분 아시아, 아프리카 출신인 이들 노동자는 거주할 곳을 찾아 나섰지만 여의치 않은 일부는 주변 도로에서 노숙해야 할 처지다.
이들에 따르면 1천200여 명이 사는 도하의 알만수라 지역 한 건물에서는 지난 26일 밤 갑자기 당국이 주민들에게 2시간 안에 집을 비우라고 통보한 뒤 남아 있던 거주자들을 몰아내고 건물 문을 잠갔다.
이 건물들은 대부분 카타르 정부가 월드컵 방문자들에게 숙소를 임대하기로 한 지역에 인접해 있다. 월드컵 조직위 웹사이트는 알만수라 지역 아파트를 하루 240~420달러(34만~60만원)에 임대한다고 안내하고 있다.
카타르 정부의 한 관리는 그러나 "이들의 퇴거는 오랫동안 진행해온 종합적인 도하 지역 개편작업에 따른 것"이라며 "월드컵과는 관련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들은 모두 안전하고 적절한 숙소에 재수용되고 있으며, 퇴거 요구는 적절한 통보 절차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제축구연맹(FIFA)은 논평 요구에 응하지 않았으며, 카타르 월드컵 조직위원회는 이에 대해 정부에 문의하라고 답했다.
월드컵 개막을 앞두고 취해진 이 조치로 인해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가혹한 처우와 억압적 사회법 등으로 국제사회의 눈총을 받아온 카타르 인권 문제가 다시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카타르는 인구 300만명 중 85% 정도가 외국인 노동자다.
중동 외국인 노동자 인권운동 단체인 '이주자 권리 프로젝트'의 바니 사라스와티 국장은 "이는 현 카타르를 값싼 노동력이 만들었다는 것을 숨긴 채 호화롭고 부유한 겉모습만 보이려 하는 것"이라며 "사전 통보도 없이 퇴거를 진행한 것은 이해할 수 없는 비인간적 행위"라고 비판했다.

